-
- 주변에서 감각하기_ 박자일
- 나의 작업 세계는 자기 자신을 바라보는 것에서 나와 관계 맺는 주변 그리고 타인을 바라보는 것으로 시야가 확장되어왔다. 정체성에서 출발해 공간과 사물을...
- 2025-03-04
-
- 김유주 Migration
- 「Migration」 21.5x10.5x16cm벗어나야 하는 관성도예는 가장 원초적인 재료를 다루는 예술이다. 의지로 완전히 제어할 수 없는 불의 과정을 거쳐 완성되는 도예의 ...
- 2025-02-07
-
- 경계가 열어주는 가능성_최나운
- “인간에게 가장 깊은 것은 피부다.” _폴 발레리Paul Valéry우리는 흔히 진리를 찾기 위해 내면을 탐구해야 한다고 믿는다. 하지만 해답은 다른 곳에 ...
- 2025-01-02
-
- 환영의 순간들_최설지
- 인간은 누구나 타인의 시선을 의식하며 살아가기 때문에, ‘진정한 나’를 찾고 싶어 하는 동시에 사회적 관계 속에서 끊임없이 만들어지는 외부의 모...
- 2025-01-02
-
- 심상의 덩어리_ 윤지영
- 「심해 너머의 세상」모든 사회는 저마다의 공동체를 유지하기 위하여 인적 자원을 양육하고 공급하기 위하여 많은 종류의 교육 시스템을 활용한다. 교육과 ...
- 2024-11-06
-
- 변형의 순간에 포착된 생명체들_백자은
- 「Flower Power」 53×43×43cm | Stoneware, colored porcelain, colored slip and glaze | 2024“나는 성장과 변화의 낯섦과 즐거움을 탐구하는 핸드빌드 도자 조형을 통해 우리와, 우...
- 2024-10-04
-
- 해체적 몰입의 외현
- 어린 시절부터 혼자 있는 시간이면 주로 물건을 해체하고 재조립하며 시간을 보냈다. 분해된 부품들이 서로 호환되었을 때는 본래의 것과는 전혀 다른 구조를...
- 2024-08-30
-
- 바다와 땅이 맞닿은 풍경
- 나의 작업세계는 ‘집중과 의도’라는 두 개의 축으로 형성되어 있다. 나의 예술적 여정은 이 두 단어의 의미를 탐구하고 구현하는 과정에서 빛난다. &ls...
- 2024-08-01
-
- 필연의 구획을 넘어 직조한 표정들
- 나는 ‘어떻게 작품이 환경에 영향력을 주고, 공간에 대한 인상을 변화시킬 수 있는가’라는 주제로 작업을 이어가고 있다. 흙, 돌, 브론즈, 나무를 소재...
- 2024-08-01
-
- 이흥복, 겹겹이 쌓인 시간의 여정
- 나의 고향, 거창 산의 특징은 깊음이다. 산을 말할 때 흔히 그 높음의 척도를 두고 격을 부여하거나 혹은 그 산이 가진 의미를 말하곤 한다. 그러나 거창 산은 ...
- 2024-06-03
-
- 나은미, 컬러 오브 테라
- 현대 생활은 다양하고 복잡하여 끝없이 진화·변화하고 있고, 무엇을 만들고 어떻게 표현해야 할지 계획하고 적용하기 위해 사물들을 천천히 주시한다. ...
- 2024-06-03
-
- 김귀연, 마주한 푸름에 바치는 기도
- 마주한 푸름에 바치는 기도종교와 무관하게, 누구나 행하고 있을 바람이라는 심리를 기도라 하고, 기도하는 심리는 원시적인 인간의 원시적이고, 순수한 심리...
- 2024-05-03
-
- 박진선, 일상 속 몽상을 기록하다
- 일상 속 몽상을 기록하다 일상에서 포착한, 상호작용하는 다양한 사물들에 대한 은유와 나만의 공예적 사고를 도자 매체로 표현하고 있다. 도시의 일상 속에 ...
- 2024-03-28
-
- 흙과 불의 공명, 조윤득
- 서울에서의 전에 이어 제주에서 전을 열었다. 도예와 조각을 융합해 흙과 불이 일구어 낸 도조 작품에 주력하는 나는 그간 돌하르방, 제주돌, 화산의 흔적 등 ...
- 2024-01-31
-
- 기억
- 우리 의식의 흐름은 고정되지 않고, 그 전체가 기억으로 보존된다. 기억은 태어나서 유년기의 나로부터 지금까지 겪어 온 나의 인생이며, 상상이 아닌 한 영...
- 2024-01-31
-
- 오종보
- 나는 흙으로 전통적인 작업과 현대적인 작업을 유기적으로 하며 한국미를 작품에 담는 것을 추구한다. 나에게 ‘한국적 미’란 단순하고 절제돼 있는, ...
- 2024-01-30
-
- 제주도기의 여정, 쓰번
- 물레를 한없이 돌려도 제자리이다. 어느 날 현무암을 도구로 삼아서 표면을 두들겼더니 느낌이 확 달라진 ‘돌그릇’이 되었다. 압착기Press를 제작하...
- 2024-01-30
-
- 형태에서 기능찾기
- 루이 설리반Louis Sulivan의 ‘형태는 기능을 따른다’는 형태와 기능의 상관관계로서, 사물의 의도된 기능에 근거하여 형태를 구상하는 기능주의 이론이...
- 2023-12-27
- 칼럼/학술더보기
-
-
- [김대환 교수의 문화재 기행 49] 백자상감 모란무늬 표주박모양 병 白磁象嵌牡丹紋瓢形甁
- 사진1) 「백자상감 모란무늬 표주박모양 병」 조선시대 15세기. 높이 19cm, 입지름 2cm, 바닥굽 지름 5.8cm태조 이성계의 조선왕조가 시작되면서 사회, 정치, 문화의 각 분야에 변화의 바람이 몰아치는 도중에 생활과 밀접한 도자기 또한 고려청자의 틀에서 새롭게 두 갈래로 변화하기 시작했다. 고려시대의 맥을 그대로 이은 조선 상감청자와 중.
-
- [소소담화39] 한국 공예의 하이엔드 high-end화와 전통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 기간 중 많은 소상공인이 어려움을 겪고 국내 산업 생태계의 생산성이 약화하였다지만, 미술과 공예계는 호황이었다. 프리즈frize 열풍이 불었고 키아프KIAF까지 열풍에 편승하며 「코로나 속 미술시장 호황」, 「화랑가 뜨거운 세일」, 「불붙은 경매 시장」, 「아트페어 속 오픈런」, 「완판, ..
-
- [에세이 ESSAY 3] 그릇이 된 생각들_바우단지
- 1992년생 이바우(1993, 04)옹기집 막내 이바우, 이바우는 새로운 일로 옹기일을 붙들었을 때 찾아왔다. 위로 오빠가 ‘물’이고, 언니가 ‘솔’이다. 그래 태어나기도 전에 ‘바우’였다. 딸이면서 ‘바우’를 이름으로 얻었다. 당시 산아제한정책이 있었고 세 번째는 의료보험이 적용되지 않았다. 집에서 낳아야 했다. .
- 뉴스단신더보기
-
-
- 2025년 도자특화 인재 창업·창직 지원사업 접수_2025.3.18.~5.8.(기간연장)
- 한국세라믹기술원이 이천 지역 도자산업 활성화를 위해 『2025년 도자특화 인재 창업·창직 지원사업』을 공고했다. 이번 사업은 도자 분야의 창의적 인재를 발굴하고, 창업·창직을 통한 일자리 창출과 지역경제 기여를 목적으로 기획되었다. 사업 신청은 4월 11일까지 이메일을 통해 접수받는다. 모집 대상은 이천 지역에서 도자 분...
-
- 2025년 ‘우수공예품지정제’ 공모 시작_접수 4. 7. ~4. 11.
-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이하 공진원)이 ‘2025년 우수공예품지정제(K-Ribbon)’ 공모 접수를 시작한다고 26일 밝혔다. 실용성과 심미성을 두루 갖춘 공예품을 공식 지정하는 이 사업은, 한국 실용공예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시장 저변을 확대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2014년 시작된 우수공예품지정제는 올해로 1...
-
- 차와 공예가 만난 자리 <2025 티앤크래프트페어> 성황리 개최
- 3월 20일부터 23일까지 서울 SETEC에서 열린 가 성황리에 마무리 됐다. 올해 첫 차 박람회로 주목받은 이번 행사는 전통 차 문화와 현대 공예가 한자리에 모인 뜻깊은 축제로, 다양한 연령층의 관람객들이 함께하며 차와 공예의 다채로운 세계를 체험하는 시간을 가졌다.이번 박람회는 전통차부터 현대적인 블렌딩 티까지 폭넓은 스펙트럼의 차...
-
- 25년 만에 독일서 한국 문화의 정수 선보이다 《백 가지 행복, 한국문화특별전》 드레스덴 성에서 개막
- 국립중앙박물관과 독일 드레스덴박물관연합(SKD)이 공동 주최한 《백 가지 행복, 한국문화특별전》이 3월 15일부터 8월 10일까지 독일 드레스덴 성(레 지덴츠 궁)에서 개최된다. 이번 전시는 1999년 에센·뮌헨 전시 이후 25년 만에 독일에서 열리는 최대 규모의 한국문화특별전이다.전시는 ‘행복’을 키워드로, 한국 문화의 정수와 ..
-
- 국립청주박물관, 특별전 《거울, 시대를 비추다》 열어
- 국립청주박물관(관장 이양수)이 2025년 상반기 특별전 《거울, 시대를 비추다》를 3월 21일부터 7월 20일까지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거울을 매개로 고대인의 삶과 사유, 그리고 동북 아시아 문화의 교류 양상을 조명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전시는 ‘제작’, ‘상징’, ‘교류’라는 세 가지 관점 아래 세 부문으로 구성된다. 1...
- 도예마당더보기
-
-
- [김대환 교수의 문화재 기행 49] 백자상감 모란무늬 표주박모양 병 白磁象嵌牡丹紋瓢形甁
- 사진1) 「백자상감 모란무늬 표주박모양 병」 조선시대 15세기. 높이 19cm, 입지름 2cm, 바닥굽 지름 5.8cm태조 이성계의 조선왕조가 시작되면서 사회, 정치, 문화의 각 분야에 변화의 바람이 몰아치는 도중에 생활과 밀접한 도자기 또한 고려청자의 틀에서 새롭게 두 갈래로 변화하기 시작했다. 고려시대의 맥을 그대로 이은 조선 상감청자와 중.
-
- [소소담화39] 한국 공예의 하이엔드 high-end화와 전통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 기간 중 많은 소상공인이 어려움을 겪고 국내 산업 생태계의 생산성이 약화하였다지만, 미술과 공예계는 호황이었다. 프리즈frize 열풍이 불었고 키아프KIAF까지 열풍에 편승하며 「코로나 속 미술시장 호황」, 「화랑가 뜨거운 세일」, 「불붙은 경매 시장」, 「아트페어 속 오픈런」, 「완판, ..
-
- 2025 중국 랴우후 장작가마 동계 캠프
- 중국 윈난성 취칭시 랴우후는 1,200년 도자공예 역사를 가지고 있는 주로 생활 도자기를 생산하여 중국의 서남부지역에 공급해 온 작은 마을이다. 중국도 자사에는 잘 알려져 있지 않은 마을이지만 1,000여 년 동안 꾸준히 장작가마를사용하여 생활도자기를 생산해왔고 현재에도 30여 개의 장작가마에서 100여 명의 도예가들이 주로 화병이나 ..
-
- Ceramic Brussels 2025_ 흙과 불이 나누는 이야기, 현대도예
- 전시장 전경벨기에 브뤼셀에서 세계 최초로 시작된 Ceramic Art Fair가 2025년 1월 22일부터 26일까지 4일 동안, 두 번째로 개최되었다. 행사 전부터 주최 측은 상세한 설명과 함께 여러 매체를 통해 적극적으로 아트페어를 홍보하였다. 첫날의 오프닝은 전문가들과 초청객을 위한 행사였고, 두번째 날 부터 일반인들에게 공개되었다. 전시장은 올해...
-
- 도예의 도시 캔자스 시티 예술 교육에서 창작까지 2부
- 새로운 뿌리를 내리는 한국 도예 작가들미국에서 작업하는 한국 작가들에게 “이곳은 집이 될 수 있을까?”라는 질문은 익숙한 고민일 것이다. 특히, 도예라는 매체는 물성과 시간성을 품고 있으며, 전통과 현대, 지역성과 세계성을 동시에 아우르는 특성을 가지기에, 새로운 환경에서 작업하는 것은 또 다른 의미를 갖는다. 흙을 빚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