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강민수《月下白瓷 월하백자》_2025.5.7.~6.13.
- 5. 7. ~6. 13. 갤러리 비선재「202412-6」 높이41×배지름39.1×굽지름14.7cm | 백토, 덤벙시유, 장작가마 소성달 아래 흰 그릇달 아래 흰 그릇 - 백자와 달항아리...
- 2025-07-08
-
- 우승보 《분청사색 粉靑思色》_2025.3.19.~5.17.
- 3. 19. ~5. 17. 노원전통문화체험관 다완재주최·주관 갤러리 피카고스 후원 노원구청전시 전경 Ⓒ갤러리 피카고스흙으로 그리는 조각가 우승보고려 말기...
- 2025-07-08
-
- 후하이잉 Haiying Hu 《Mental Landscape》_2025.5.16.~6.21.
- 5. 16. ~6. 21. 이젤리전시 전경 ©이젤리도자 위에 담은 사유의 풍경후 하이잉의 ‘Mental Landscape’ 이젤리는 중국 전통 도자기법의 청화 안료를 사용...
- 2025-07-08
-
- 신한균 도예전 《신의 그릇》_2025.4.8.~6.22.
- 4. 8. ~6. 22. 신세계갤러리 센텀시티 「달항아리」 높이 43cm, 지름 49cm전통의 맥을 잇는 작가 신한균신의 그릇 전시를 개최하며양산 통도사 인근에서 ‘신정...
- 2025-07-08
-
- 《오늘, 분청》_2025.4.10.~8.17.
- 4. 10. ~8. 17. 경기도자미술관오늘, 분청경기도자미술관 기획전 《오늘, 분청》은 오늘날 한국 도자예술에 지대한 예술적 영감과 창작의 원천을 제공하는 도자 ...
- 2025-07-08
-
- 《변주; 한국 전통 도자의 재해석》_2025.5.1.~8.31.
- 5. 1. ~8. 31. 경기생활도자미술관변주; 한국 전통 도자의 재해석홍콩에서 2만 2천여 명의 관람객을 기록하며 현지의 찬사를 받은 한국현대도예전 《변주; 한국 ...
- 2025-07-07
-
- 고용석《바다의 노래 너울 展》_2025.4.9.~5.6
- 4. 9. ~5. 6. 한향림도자미술관소리와 빛, 그리고 감촉으로 다가오는 너울의 형상 전시 전경 한향림도자미술관에서는 4월 9일부터 5월 6일까지 고용석 작가 초청 ...
- 2025-06-05
-
- 박미란《Aurore 曙光》_2025.4.23.~4.29
- 4. 23. ~4. 29. 갤러리 인사아트칠漆로 넘어서는 경계전시 전경‘칠흑’같은 어둠이라는 말처럼 전통적인 옻칠의 색감은 검정색으로 대표된다. 하지만 20...
- 2025-06-05
-
- 정창섭 & 권대섭 2인전_2025.3.6.~4.20.
- 3. 6. ~4. 20. 조현화랑 서울전시 전경닥나무로 만든 한지를 회화에 접목한 단색화 1세대 故 정창섭, 그리고 조선 백자의 전통을 계승하며 현대적 조형성을 탐구...
- 2025-06-05
-
- 임상채《The form of the unseen》_2025.3.21.~4.12.
- 3. 21. ~4. 12. 갤러리 도피소볼 수 없는 것들의 형상임상채 작가는 지난 30년간 도자기 예술의 길을 묵묵히 걸어온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도자기 명인이다. 그는 ...
- 2025-06-05
-
- 신자경《진심인 편》_2025.4.3~4.19.
- 4. 3. ~4. 19. 누크갤러리「Raised Laffe III_1/5」29.7x24.4x10cm | 유기, 모래 주조 | 2025숟가락은 테이블 위에 납작하게 놓여졌다가 들어 올려지고, 이 두 상태를 반복적으...
- 2025-06-05
-
- 궁극적 실체 - 건·곤·감·리_2025.4.4.~4.27.
- 4. 4. ~4. 27. 아트뮤지엄 려박재국 전시 전경서양철학에서 실체實體는 세상의 근원, 궁극적인 본질을 말한다. 이것은 현상 이면에 작동하는 본질 즉 실상을 의미...
- 2025-06-05
-
- 아뜰리에 유지《BON VOYAGE》_2025.2.21.~4.6.
- 2. 21. ~4. 6. 알부스 갤러리BON VOYAGE이번 전시는 아뜰리에 유지의 첫 단독 전시로, 이천도자예술마을에서만 만나볼 수 있었던 작품을 선보였다.ⓒAlbus gallery아뜰...
- 2025-05-07
-
- 《호림명보 湖林名寶》_2025.2.11.~7.26.
- 2. 11. ~7. 26. 호림박물관 신사분관역사의 아름다움, 그 가치를 이어가다2025년 3월 기준, 우리나라는 363건의 국보와 2419건의 보물이 지정되어 있다. 까다로운 심...
- 2025-05-07
-
- 이능호, 박성욱《굽과 합》_2025.2.7.~3.14.
- 2. 7. ~3. 14. 수애뇨339 굽과 합굽은 그릇의 밑바닥에 붙은 나지막한 받침을 가리킨다. 본디 다른 존재를 받쳐 주거나 돋보이도록 만들어졌기에 다른 존재와 더...
- 2025-05-02
-
- 최성재 《Landscape of the Heart 마음 풍경》_2025.3.6.~3.22.
- 3. 6. ~3. 22 갤러리 소안수풀, 푸른… 찰나40년이 넘는 세월동안 도예 수행을 해온 최성재의 44번째 개인전은 자유롭지만 섬세한 붓놀림이 느껴지는 귀얄기법...
- 2025-04-30
-
- 김재용《Run Donut Run》_2025.2.26.~4.5.
- 2. 26. ~4. 5. 학고재 도넛, 욕망을 비추는 거울전시 공간에 펼쳐진 형형색색의 도넛 조각의 풍경은 현대 소비사회의 축소판이자 귀환을 기다리는 자화상이다. ...
- 2025-04-30
-
- 이동식의 달항아리_2025.1.17.~2.15.
- 1. 17. ~2. 15. 운중화랑 전시 전경달항아리, 피안의 세계를 담다18세기 잠시 나타났다 사라졌다고 여겼던 백자대호가 300년이 지나 다시 주목 받는다. 달항아리가...
- 2025-04-02
-
- 2024 고흥분청문화박물관 입주작가 성과 기획전 《분청변주》_2025.1.27.~3.30.
- 1. 27. ~3. 30. 고흥분청문화박물관 기획전시실젊은 도예가들의 3색 분청 변주곡2024년 고흥분청문화박물관 레지던시 프로그램에는 윤준호, 전희은, 이정빈 3명의 ...
- 2025-04-02
-
- 국립중앙박물관 특별전 《푸른 세상을 빚다, 고려 상형청자》_2024.11.26.~3.3.
- 2024. 11. 26. ~3. 3.국립중앙박물관 특별전시실 2상형청자의 다채로운 세계를 조명하다지난 2024년 11월 26일부터 2025년 3월 3일까지 국립중앙박물관에서 개최한 특...
- 2025-04-02
- 전시더보기
-
-
- 강민수《月下白瓷 월하백자》_2025.5.7.~6.13.
- 5. 7. ~6. 13. 갤러리 비선재「202412-6」 높이41×배지름39.1×굽지름14.7cm | 백토, 덤벙시유, 장작가마 소성달 아래 흰 그릇달 아래 흰 그릇 - 백자와 달항아리의 역사조선 후기에 제작된 백자 달항아리는 한국 도자사의 정수로 꼽히며, 단순한 공예품을 넘어 미학적, 철학적 사유의 대상으로 존재한다. 이 항아리는 흙과 물, 불이라는 자연의 ...
-
- 우승보 《분청사색 粉靑思色》_2025.3.19.~5.17.
- 3. 19. ~5. 17. 노원전통문화체험관 다완재주최·주관 갤러리 피카고스 후원 노원구청전시 전경 Ⓒ갤러리 피카고스흙으로 그리는 조각가 우승보고려 말기부터 조선 초기까지 약 200년간 유행한 분청사기는 고려시대를 대표하는 청자, 조선시대의 백자와 비교되는 독특한 특징을 갖고 있다. 당시 송나라와 고려만이 1300℃로 흙을 ...
-
- 도자 위에 담은 사유의 풍경_후 하이잉
- 후하이잉 Haiying Hu 《Mental Landscape》 5. 16. ~6. 21. 이젤리전시 전경 ©이젤리이젤리는 중국 전통 도자기법의 청화 안료를 사용하여 일상의 풍경들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는 후하이잉 작가의 《Mental Landscape》전을 개최했다. 이번 전시에서 작가만의 독특한 표현 방식으로 물리적인 풍경뿐만이 아닌 마음의 풍경을 담은 「Land...
-
- 전통의 맥을 잇는 작가 신한균
- 신한균 도예전 《신의 그릇》4. 8. ~6. 22. 신세계갤러리 센텀시티 「달항아리」 높이 43cm, 지름 49cm신의 그릇 전시를 개최하며양산 통도사 인근에서 ‘신정희요’를 운영하는 신한균 사기장의 도예전 《신의 그릇》이 신세계갤러리 센텀시티에서 개최되었다. 조선사발을 최초로 재현한 故 신정희 선생의 장남으로 태어난 신한균은 장작...
-
- 오늘, 분청
- 4. 10. ~8. 17. 경기도자미술관경기도자미술관 기획전 《오늘, 분청》은 오늘날 한국 도자예술에 지대한 예술적 영감과 창작의 원천을 제공하는 도자 양식인 ‘분청’의 현재를 살펴보고, 현대적 의의에 대해 사색하고 논의하는 장으로 마련되었다.‘한국 고유의 미’에 대해 이야기할 때, 늘 빠지지 않고 소환되는 한국 도예의 한 ...
-
- 변주; 한국 전통 도자의 재해석
- 《변주; 한국 전통 도자의 재해석》5. 1. ~8. 31. 경기생활도자미술관홍콩에서 2만 2천여 명의 관람객을 기록하며 현지의 찬사를 받은 한국현대도예전 《변주; 한국 전통 도자의 재해석 Variation; The Reinterpretation of Korean Traditional Ceramics》이 경기생활도자미술관에서 열렸다. 한국도자재단이 오는 8월 31일까지 여주 경기생활도자미술관 2층 전관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