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윤상현《기형도감 器形圖鑑》_2025.5.28.~6.8.
- 5. 28. ~6. 8. KCDF갤러리윤상현의 기형도감 器形圖鑑 정형과 비정형 사이전시 전경 사진. KCDF갤러리 제공미술사를 공부하면서 나는 ‘근대주의’를 문...
- 2025-08-01
-
- 《도자기를 사랑한 화가들》_2025.5.10.~6.10
- 피카소와 김기창 소장품 특별전 5. 10. ~6. 10. 한향림도자미술관도자기, 틀을 넘어서다!전통 도자는 ‘담아내는 기능’을 관념적으로 가진다. 도자는 흙...
- 2025-08-01
-
- 《모든 기쁨 Every Single Pleasure》_2025.5.24.~6.8.
- 5. 24. ~6. 8. 개나리미술관빚고 허물고 다시 빚는 삶의 기쁨들‘위대한 남성 작가의 신화’ 속에서 여성 미술가는 오랫동안 미술사에 거론되지 못했던 존...
- 2025-08-01
-
- 박예린《무력한 조형 Sculpting Vulnerability》_2025.6.12.~6.25.(~7.2.전시연장)
- 6. 12. ~6. 25.(~7. 2. 전시연장) 하우스이오이전시 전경 ©유물하우스이오이houseEOE는 건축 디자인 스튜디오 인테그(INTG.)에서 운영하는 변하지 않는 가치에 대한...
- 2025-08-01
-
- 《(A) Banquet: 한여름 밤의 만찬》_2025.4.11.~6.30.
- 4. 11. ~6. 30. 갤러리 로얄환상적인 만찬, 공예로 펼쳐지다전시《(A) Banquet : 한여름 밤의 만찬》은 시간의 흐름 속에서 불쑥 떠오르는 마법 같은 순간에 일상과 ...
- 2025-08-01
-
- 《연기 없는 장작가마 번조展》_2025.5.9.~6.29.
- 5. 9. ~ 6. 29. 양구백자박물관검은 연기가 사라진 지속 가능한 예술 환경현대 사회에서 기후 변화는 가장 심각한 환경 문제 중 하나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따라 ...
- 2025-08-01
-
- 강민수《月下白瓷 월하백자》_2025.5.7.~6.13.
- 5. 7. ~6. 13. 갤러리 비선재「202412-6」 높이41×배지름39.1×굽지름14.7cm | 백토, 덤벙시유, 장작가마 소성달 아래 흰 그릇달 아래 흰 그릇 - 백자와 달항아리...
- 2025-07-08
-
- 우승보 《분청사색 粉靑思色》_2025.3.19.~5.17.
- 3. 19. ~5. 17. 노원전통문화체험관 다완재주최·주관 갤러리 피카고스 후원 노원구청전시 전경 Ⓒ갤러리 피카고스흙으로 그리는 조각가 우승보고려 말기...
- 2025-07-08
-
- 후하이잉 Haiying Hu 《Mental Landscape》_2025.5.16.~6.21.
- 5. 16. ~6. 21. 이젤리전시 전경 ©이젤리도자 위에 담은 사유의 풍경후 하이잉의 ‘Mental Landscape’ 이젤리는 중국 전통 도자기법의 청화 안료를 사용...
- 2025-07-08
-
- 신한균 도예전 《신의 그릇》_2025.4.8.~6.22.
- 4. 8. ~6. 22. 신세계갤러리 센텀시티 「달항아리」 높이 43cm, 지름 49cm전통의 맥을 잇는 작가 신한균신의 그릇 전시를 개최하며양산 통도사 인근에서 ‘신정...
- 2025-07-08
-
- 《오늘, 분청》_2025.4.10.~8.17.
- 4. 10. ~8. 17. 경기도자미술관오늘, 분청경기도자미술관 기획전 《오늘, 분청》은 오늘날 한국 도자예술에 지대한 예술적 영감과 창작의 원천을 제공하는 도자 ...
- 2025-07-08
-
- 《변주; 한국 전통 도자의 재해석》_2025.5.1.~8.31.
- 5. 1. ~8. 31. 경기생활도자미술관변주; 한국 전통 도자의 재해석홍콩에서 2만 2천여 명의 관람객을 기록하며 현지의 찬사를 받은 한국현대도예전 《변주; 한국 ...
- 2025-07-07
-
- 고용석《바다의 노래 너울 展》_2025.4.9.~5.6
- 4. 9. ~5. 6. 한향림도자미술관소리와 빛, 그리고 감촉으로 다가오는 너울의 형상 전시 전경 한향림도자미술관에서는 4월 9일부터 5월 6일까지 고용석 작가 초청 ...
- 2025-06-05
-
- 박미란《Aurore 曙光》_2025.4.23.~4.29
- 4. 23. ~4. 29. 갤러리 인사아트칠漆로 넘어서는 경계전시 전경‘칠흑’같은 어둠이라는 말처럼 전통적인 옻칠의 색감은 검정색으로 대표된다. 하지만 20...
- 2025-06-05
-
- 정창섭 & 권대섭 2인전_2025.3.6.~4.20.
- 3. 6. ~4. 20. 조현화랑 서울전시 전경닥나무로 만든 한지를 회화에 접목한 단색화 1세대 故 정창섭, 그리고 조선 백자의 전통을 계승하며 현대적 조형성을 탐구...
- 2025-06-05
-
- 임상채《The form of the unseen》_2025.3.21.~4.12.
- 3. 21. ~4. 12. 갤러리 도피소볼 수 없는 것들의 형상임상채 작가는 지난 30년간 도자기 예술의 길을 묵묵히 걸어온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도자기 명인이다. 그는 ...
- 2025-06-05
-
- 신자경《진심인 편》_2025.4.3~4.19.
- 4. 3. ~4. 19. 누크갤러리「Raised Laffe III_1/5」29.7x24.4x10cm | 유기, 모래 주조 | 2025숟가락은 테이블 위에 납작하게 놓여졌다가 들어 올려지고, 이 두 상태를 반복적으...
- 2025-06-05
-
- 궁극적 실체 - 건·곤·감·리_2025.4.4.~4.27.
- 4. 4. ~4. 27. 아트뮤지엄 려박재국 전시 전경서양철학에서 실체實體는 세상의 근원, 궁극적인 본질을 말한다. 이것은 현상 이면에 작동하는 본질 즉 실상을 의미...
- 2025-06-05
-
- 아뜰리에 유지《BON VOYAGE》_2025.2.21.~4.6.
- 2. 21. ~4. 6. 알부스 갤러리BON VOYAGE이번 전시는 아뜰리에 유지의 첫 단독 전시로, 이천도자예술마을에서만 만나볼 수 있었던 작품을 선보였다.ⓒAlbus gallery아뜰...
- 2025-05-07
-
- 《호림명보 湖林名寶》_2025.2.11.~7.26.
- 2. 11. ~7. 26. 호림박물관 신사분관역사의 아름다움, 그 가치를 이어가다2025년 3월 기준, 우리나라는 363건의 국보와 2419건의 보물이 지정되어 있다. 까다로운 심...
- 2025-05-07
- 도예마당더보기
-
-
- 제12회 하모니국제도예프랜드십 페스티벌 ‘하모니&양구’
- 다름을 즐기고 다채로움을 완성하다2013년, 한국, 캐나다, 중국 국적의 6명의 도예가는 괴산 조령민속공예촌에 모여 함께 작품을 만들고 각국의 전통 음식을 만들어 나눠 먹었다. 이 작은 모임이 올해로 12회를 맞는 하모니국제도예프랜드십 페스티벌의 시작이다. 따스한 햇살과 시원한 바람이 기분 좋은 초여름, 괴산과 양구의 푸르 른 자연 .
-
- 동아시아 도자문화 교류의 새로운 장봉황산경 鳳凰山景
- 백제기와 교류 워크숍을 통한 문화유산의 현대적 계승백제百濟는 기원전 18년부터 660년까지 678년간 한반도 서남부를 중심으로 번영했던 고대 국가였다. 그러나 신라와 당나라 연합군에 의해 멸망하면서 백제의 찬란했던 문화와 기술은 상당 부분 역사 속으로 사라져 버렸다. 승자의 기록이 역사가 되는 현실 속에서 백제에 관한 문헌 기록..
-
- 천 년 한옥-천 년 도자기 동시대예술의 융복합 지향 복합문화예술공간 ‘일루와유 달보루’
- 일루와유 달보루 전경지난 1월 햇살 좋은 날 오후에 은평한옥마을에 있는 일루와유 달보루에서는 문화예술 기획자, 감독, 작가, 평론가 등 음악, 미술, 공연, 기술기반예술, 다원예술까지 다양한 분야를 아우르는 전문가들의 신년 모임이 있었다. 동시대 예술의 최전선에서 활동하고 있는 30여 명이 모여, 함께한 감독의 신작 영상 감상을 시..
-
- [김대환 교수의 문화재 기행 53] 백자 청화 산수누각무늬 사각병 白磁靑畵山水樓閣紋四角甁
- 사진1) 「백자 청화 산수누각무늬 사각병」 조선시대 | 높이 18cm, 입지름 4cm, 바닥굽 9.5×9.5cm조선 후기의 문예부흥기로 일컬어지는 18세기에 들어서면 조선백자는 몸통이 각이 진 각형자기角形磁器가 새롭게 등장하게 된다. 각형자기는 물레로 원형의 자기를 성형한 후에 이른바 ‘모깎기 기법’을 하여 표면이 각이 지게 만든 기법...
-
- [소소담화43] 한국 공예 전시기획의 아카이빙 활용과 클리셰 (cliché)
- 공예에서 재료, 기술, 형태를 기반으로 한 분류체계와 지칭의 역사는 매우 깊다. 흙, 유리, 나무, 섬유, 금속 등 각 재료를 기반으로 공예의 영역을 분류하는 것, 작업자들을 재료에 가家를 붙여 지칭하는것 역시 재료, 기술, 형태를 기반으로 공예를 이해, 접근해 온 오랜 관습이다. 문제는 공예가 실용적 사물 혹은 그것을 만드는 기술에서 벗...
-
- [에세이 ESSAY 7] 그릇이 된 생각들_물독모심
- 아끼는 책이 있다. 한글학회에서 1966년 발간하여 1985년에 완간한 『한국지명총람』이다. 흙이란 것이 땅에서 왔으니 그 땅을 알고자 할 때 땅이름, 지명地名을 알면 그 이름만으로도 많이 알아진다. 또 옹기의 몸흙이 퇴적점토이니까 지명을 통해 지나온 과정, 땅의 이력을 먼저 본다. 그런데 전혀 다르게 예언지명이란 것이 또 있다. 용담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