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특집I] 모두를 위한 박물관: 감각적 접근성과 문화유산의 새로운 경험
- 최근 휴식과 힐링의 공간으로 박물관의 장소성이 확장되면서 박물관 활동 전반에서 복합적이고 총체적인 경험이 확대되고 있다. 박물관 주요 활동인 전시는 ...
- 2025-03-04
-
- [특집II] 보다 많은 사람이 만족할 수 있는 ‘모두의 박물관’의 새로운 방향 모색_프랑스 국립도자센터 사례를 중심으로
- 최근 들어 국내 박물관들에서 빈번하게 언급되고 있는 ‘모두의 박물관’은 박물관이 그동안 사람들에게 가깝게 다가가지 못해온 상황을 반증이라도 ...
- 2025-03-04
-
- [특집III] 박물관에서의 유니버설디자인_ 해외 사례를 중심으로
- 오늘날의 박물관은 단순히 유물과 예술품을 보존하고 전시하는 장소를 넘어, 다양한 방문객을 포용하는 사회적 역할을 중시하는 공간으로 변모하고 있다. 이...
- 2025-03-04
-
- [특집 I] 도예계를 휩쓴 일곱 가지 물결
- 2025 도자예술의 흥미로운 변화들“3D 프린터로 도자기를 만들어요? 뭔가 색다르네요!”“일회용 컵 대신 도자기 텀블러로 음료를 즐기는 MZ세대가 늘고 있어요.” “해외에서도 K-도자기의 매력에 푹 빠졌...
- 2025-02-07
-
- [특집II] 2025 도예 지속가능성과 디지털이 이끄는 변화의 물결
- 2024년 도예계에 불었던 변화의 바람은 2025년에 더욱 거세질 전망이다. 특히 친환경 제작 방식과 디지털 기술의 도입이 도예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며, 전통과 혁신의 조화로운 발전이 기대된다.1. 친환...
- 2025-02-07
-
- [특집III] 유럽 도자예술의 최신 동향_ 전통과 실험 사이, 유럽 도예의 현주소
- 지속 가능한 미래를 향한 도자예술의 새로운 도전 1. European Ceramic Context 2024- 덴마크 본홀름에서 2024년 11월 7일까지 열리는 대규모 도자예술 전시회로, 지속가능한 도자 실천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도자예...
- 2025-02-07
-
- [특집IV] 변화하는 문화예술 정책
- 문화체육관광부의 최근 정책 변화는 순수 예술 진흥에 중요한 전환점을 제시하고 있다. 유인촌 장관은 정치적 고려 없이 창작자를 존중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이러한 변화는 앞으로...
- 2025-02-07
-
- [특집 I] 대만의 국제 도자 공모전 역사와 발전
- 1981년, 대만 국립역사박물관과 일본교류협회가 공동 주최한 《중일 현대 도예가 작품전 Exhibition of Works by Chinese and Japanese Modern Ceramic Artists》은 대만 도예계에 ...
- 2025-01-02
-
- [특집 II] 2024대만도자비엔날레 총론
- 잉거도자의 기틀마련과 역대 대만도자비엔날레 현황대만 북구에 위치한 잉거Yingge는 200여 년 전부터 양질의 토양 덕에 도자산업의 중요한 도시로 부각되었지...
- 2025-01-02
-
- [특집 III] 2024 대만도자비엔날레 수상작가 인터뷰
- 대상 수상, 사토 작가와의 대화: 도시의 소리와 에너지를 형태로 빚다사토 마사유키에게 예술은 자기 탐구의 도구다. “나 자신을 알고 싶어서 작업을 합니...
- 2025-01-02
-
- [특집 IV] 한국, 일본, 대만 세 나라 국제도예공모전 비교
- 비엔날레Biennale는 이탈리아어로 2년에 한 번, 트리엔날레 Triennale는 3년 마다라는 뜻으로 해당 기간에 따라 열리는 국제 미술 전시회이다. 팬데믹 이후 국제 도...
- 2025-01-02
-
- [특집 I] 통가마는 무엇으로 불을 지피나?
- ‘불을 피워두고 청년이 앉아있습니다. 적막 속에서 피워 오르는 작은 불이 그를 고요하게 만듭니다. 아니 고요하기 위해 세상의 적막 속 불을 피우고 응시...
- 2024-12-06
-
- [특집 II] 통가마, 불과 사람을 잇는 가마_토맥 니에쥽카 Tomasz Niedziółka와의 인터뷰
- 약 20년 전, 폴란드 브로츠와프 예술대학에 한국의 전통 통가마가 세워졌다. 이는 한국 아르코와 브로츠와프 예술대학의 후원으로 이루어진 문화 교류의 성과...
- 2024-12-06
-
- [특집 III] 통가마로부터 생각나무를 빚어낸 생태예술가
- 전통 예술과 현대 생태 사상이 만나 새로운 길을 모색하는 작업이 있다. 양승호 도예가는 우리나라 전통방식의 장작가마로 소성하는 통가마 방식을 통해 인간...
- 2024-12-06
-
- [특집 I] 도자비엔날레, 협력과 변화를 잇는 예술의 미래를 그리다_ 임미선 예술감독 인터뷰
- 올해로 12회를 맞이한 경기도자비엔날레는 그 어느 때보다도 현실과 맞닿은 메시지를 전하며, 예술을 통해 변화와 공존의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
- 2024-11-11
-
- [특집 II] 주제전시 리뷰_ 투게더, 함께 나아가는 우리
- 2024경기도자비엔날레 본전시의 주제는 ‘투게더_몽테뉴의 고양이’이다. 제목만 보고서는 고양이가 나오는 전시로 생각하기 쉽지만 사실은 ‘협력’에 대한 ...
- 2024-11-11
-
- [특집 III] 2024경기도자비엔날레 전시연계 프로그램 리뷰_전시의 확장, 관람객의 참여
- 많은 현대미술 전시는 온고잉 프로젝트로 진행되며 전시 기간 중에 관람객의 참여 혹은 프로젝트 자체의 특성상 시간을 거듭하며 완성되는 방식을 취하기도 ...
- 2024-11-11
-
- [특집 IV] 2024경기도자비엔날레 국제공모전 대상작가 매트 웨델 Matt Wedel(미국) 인터뷰
- 국제공모전 참여를 통해 대상을 수상하게 된 소감을 말씀해주세요.전시회에 참여하게 되어 매우 기쁩니다. 이 상을 받게 되어 꿈 만 같아요. 학생 시절에 이 ...
- 2024-11-11
- 전시더보기
-
-
- 《공예행 工藝行: 골골샅샅, 면면촌촌》_2025.1.15.~2.11.
- 1. 15. ~2. 11. 문화역서울284100년의 시간을 잇는 공예의 여정“열차가 떠나겠습니다.”문화역서울284에서 특별한 여정이 시작됐다. 한 세기 동안 수많은 사람들의 이야기가 오갔 던 서울역이 이번에는 우리 공예의 과거와 현재를 잇는 플랫폼이 되었다. 《공예행: 골골샅 샅, 면면촌촌》전이 그 기차표다.전시장에 들어서면 7개의 테마 공.
-
- 경기도자박물관 무장애 기획전 《도자기와 닿다, 도자기 와닿다》_2024.11.26.~3.30.
- 2024. 11. 26. ~3. 30. 경기도자박물관 기획전시실오감으로 만나는 우리 도자기경기도자박물관은 오는 3월 30일까지 무장애Barrier-Free 기획전 《도자기와 닿다, 도자기 와닿다》를 기획전시실에서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2022년 ICOM(International Council of Museums, 국제박물관협의회) 에서 채택된 박물관의 정의인 ‘모두를 위한 박물관, 지속가능성과 .
-
- 이용순 개인전_2025.1.8.~1.23.
- 1. 8. ~1. 23. 토포하우스 제2전시실 달항아리 탐닉記후지시로 세이지 북촌스페이스 입구에는 이용순 작가의 보름달 같은 백자 달항아리가 떡하니 관람객을 먼저 맞이 한다.예로부터 해외시장에서 화려하게 대접받던 고려청자나 청화백자와 달리 17~18세기 조선에서 등장한 청초하고 마음씨 고아 보이는 백자 대호는 주목받지 못한 채 어느...
-
- 오종보 네 번째 개인전 《New Start》_2024.12.23.~1.1.
- 2024. 12. 23. ~1. 1. LYNN Fine Art Gallery(작품전) 일상민예점 도이(상품전) 흙으로 빚은 시간, 한국의 미를 담다나는 백자의 단순한 조형미와 여백을 통해 삶의 흔적을 자유롭게 회화적으로 기록하며, 점, 선, 면을 활용해 이야기를 형상화한다. 청화 안료로 표현된 코발트의 자연스러운 농담은 나 자신의 자아를 상징적으로 드러내는 중요한 요소다. ...
-
- 김수연, 천욱환 2인 전 《여백 사물》_2025.1.14.~1.25.
- 1. 14. ~1. 25. 다음사물을 제대로 바라보기 위한 여백같은 학교에서 도예를 공부하고, 같은 스승 밑에서 도자기를 대하는 삶을 배우고, 학업을 마치고 내려간 강원도 양구의 백자연구소에서 함께 작업을 하는 김수연, 천욱환 작가가 둘만의 첫 전시를 열었다. 오랜 인연 끝에 작년 부부의 연을 맺은 두 작가는 ‘여백’ 속 같은 듯 다른 작...
- 작가더보기
-
-
- 강용석_ 소외를 공간과 형상으로 이야기하는 작가
- 강용석 작가의 작업에서 ‘소외’는 현대 사회에서 인간이 겪는 심리적, 사회적 단절과 고립감을 의미하며, 이는 왜곡된 형상, 흙의 물성, 공간적 배치 등을 통해 시각적으로 구체화되고 상징적으로 표현된다. 그는 감정을 시각적이거나 물리적으로 구현하는 작업을 통해 소외라는 주제를 조형적 작품으로 풀어내고, 이를 관객에게 효...
-
- 볼륨을 해체하고 안을 들여다본다_ 심재현
- 심재현 도예전 2024. 12. 20. ~1. 5. 비담은 53×22×5cm | 흑토, 테라시질레타, 1250°C 산화소성1979년에 시작되어 가장 오래된 도재상으로 불리는 여주의 대원도재가 2019년 이천 예스파크에 두 번째 도재상인 비담은을 오픈했다. 늘 음악이 흐르는 넓고 쾌적한 매장의 비담은은 도자 재료를 판매하는 일반적인 도재상의 개념에 아트 갤러리를...
-
- 이원적인 모순의 화해와 중의적인 모호의 아름다움_ 전신연의 도자예술
- 전신연 《서체, 바디와 내러티브 Typeface, Body and Narrative》 1. 13. ~2. 28. 미국 오하이오주 톨레도대학교 사우스갤러리재미 도예가 전신연의 전시 《서체, 바디와 내러티브 Typeface, Body and Narrative》가 미국 오하이오주 톨레도대학교의 사우스갤러리에서 2025년 1월 13일부터 2월 28일까지 열리고 있다. 현재 메릴랜드주 몽고메리 칼리지에서 도자를 .
-
- 성석진의 도자 陶瓷_ 기능과 예술 사이
- 여주도자직설11 성석진 개인전 《UNIVERSE》2024. 11. 15. ~2. 23. 여주도자나날센터 쇼룸전통의 맥을 이어가는 유, 무형문화재의 오래된 장인을 일컬어 우리는 ‘기능보유자’라 부른다. 디지털 사회와 첨단 AI 산업을 지향하는 지금의 시대임에도 불구하고 옛것을 새롭게 이어가는 ‘기능’의 장인들, 이들의 중요성은 더더욱 역설적..
-
- 주변에서 감각하기_ 박자일
- 나의 작업 세계는 자기 자신을 바라보는 것에서 나와 관계 맺는 주변 그리고 타인을 바라보는 것으로 시야가 확장되어왔다. 정체성에서 출발해 공간과 사물을 인식하고 감각하는 일련의 흐름으로 이어진다. 세계를 인식하기 이전 나에게서 출발한 작업 여정은 신체를 통해 정체성을 이해하는 과정을 통해 시작한다. 정체성이라는 것이 고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