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 장의 사진, 영원의 작품 18]
- 본 지면은 경기도자미술관의 소장품을 소개하는 꼭지입니다. 사진 한 점을 통해 기법이나 표현방식, 주목받은 이유 등 다각적으로 살펴보며 과거의 물상과 이...
- 2025-03-04
-
- [한 장의 사진, 영원의 작품 17]
- 본 지면은 경기도자미술관의 소장품을 소개하는 꼭지입니다. 사진 한 점을 통해 기법이나 표현방식, 주목받은 이유 등 다각적으로 살펴보며 과거의 물상과 이...
- 2025-02-07
-
- 일상 속에 매일같이 쓰이는 공예_ 2024 공예트렌드페어
- 공예의 쓸모와 아름다움을 알리는 축제, 가 지난 12월 12일부터 15일까지 4일간 코엑스 C홀에서 개최되었다. 19번째를 맞이한 이번 페어의 주제는 ‘일상 명품...
- 2025-02-04
-
- 여주시, 신제품 개발과 디자인 지원사업으로 도자산업 생태계 활성화
- 여주시는 도자기 산업을 중심으로 다양한 신제품 개발로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고 있다. 특히 여주도자나날센터의 공동 브랜드 나날을 통해 도자 소공인들과 ...
- 2025-02-04
-
- [한 장의 사진, 영원의 작품 16]
- 본 지면은 경기도자미술관과 경기생활도자미술관의 소장품을 소개하는 꼭지입니다. 사진 한 점을 통해 기법이나 표현방식, 주목받은 이유 등 다각적으로 살...
- 2024-08-30
-
- [한 장의 사진, 영원의 작품15]
- 본 지면은 경기도자미술관과 경기생활도자미술관의 소장품을 소개하는 꼭지입니다. 사진 한 점을 통해 기법이나 표현방식, 주목받은 이유 등 다각적으로 ...
- 2024-08-01
-
- [CERAMICS IN A PHOTO ⑧] 한 장의 사진, 영원의 작품
- CERAMICS IN A PHOTO ⑧
한 장의 사진, 영원의 작품
본 지면은 경기생활도자미술관에서 개최한 <감각의 이중주>2022.4.22.~2023.3.31전에서 선보인 한국도자재단 소장품과 역대 도자비엔날레 수상작을 소개하...
- 2023-07-04
-
- [CERAMICS IN A PHOTO ⑦] 한 장의 사진, 영원의 작품
- CERAMICS IN A PHOTO ⑦
한 장의 사진, 영원의 작품
매월 연재되는 본 지면은 역대 도자비엔날레 수상작과 한국도자재단 소장품을 소개하는 꼭지입니다. 사진 한 점을 통해 기법이나 표현방식, 당시 주목받...
- 2023-04-27
-
- [포커스] 2023 도예공모전 한눈에 살펴보기
- 포커스 FOCUS 2023 도예공모전 한눈에 살펴보기공모전은 도예에 대한 참신하고 독창적인 해석과 조형적 아름다움을 활용한 다양한 결과물을 선보이기 위한 장이다. 생명력 가득한 봄처럼 새로운 도전이 될 ...
- 2023-03-30
-
- [한 장의 사진, 영원의 작품⑥]
- 한 장의 사진, 영원의 작품 ⑥ | CERAMICS IN A PHOTO 매월 연재되는 본 지면은 역대 도자비엔날레 수상작과 한국도자재단 소장품을 소개하는 꼭지입니다. 사진 한 점을 통해 기법이나 표현방식, 당시 주목받은 ...
- 2023-03-30
-
- [한 장의 사진, 영원의 작품⑤]
- 한 장의 사진, 영원의 작품 ⑤ | CERAMICS IN A PHOTO 매월 연재되는 본 지면은 역대 도자비엔날레 수상작과 한국도자재단 소장품을 소개하는 꼭지입니다. 사진한 점을 통해 기법이나 표현방식, 당시 주목받은 ...
- 2023-02-13
-
- [한 장의 사진, 영원의 작품④]
- CERAMICS IN A PHOTO ④한 장의 사진, 영원의 작품글.사진 경기도자미술관 제공본 지면은 역대 도자비엔날레 수상작과 한국도자재단 소장품을 소개하는 꼭지입니다. 사진 한 점을 통해 기법이나 표현방식, 당시...
- 2023-02-10
-
- [한 장의 사진, 영원의 작품①]
- [한 장의 사진, 영원의 작품① | CERAMICS IN A PHOTO]한 장의 사진, 영원의 작품 ①본 지면은 새로 선보이는 섹션으로, 역대 도자비엔날레 수상작과한국도자재단 소장품을 꺼내보는 취지로 마련했습니다. 사진 ...
- 2022-10-31
-
- <2020 도예 관련 지원 사업 총정리>
-
ZOOM IN
<2020 도예 관련 지원 사업 총정리> 글.이민형 프리랜스 에디터 진행.이수빈 기자
훌륭한 작품을 만들어내는 것도 물론 중요하겠지만, 작업을 위한 환경을조성하는 것 또한 중요한 일이다....
- 2020-03-02
-
- 2002년 도예계 전망
- 2002년 도예계 전망
정리되고 내실화 기하며 활성화 전망 도예계 인프라 형성,
도예인식제고, 저변확대 고무적
이천 세계도자기센터 여주 생활 도자관...
- 2003-03-18
- 인기소식더보기
-
-
- 양구백토마을 공예창작스튜디오 입주작가모집 Call for Artists: Yanggu Baekto Village Craft Studio Residency Program_2025.4.22.~5.7.
- 1. Recruitment OverviewA. Eligibility - Domestic applicants: Artists or professionals in ceramics, crafts, painting, sculpture, and related fields.※ Applicants aged under 45 may be given preferential consideration.- International applicants: Graduates with a degree (or expected graduation) from a relevant department at a four-year university or higher.※ If the number of international applicants is insufficient, domestic applicants may be sele...
-
- 이동식의 달항아리_2025.1.17.~2.15.
- 1. 17. ~2. 15. 운중화랑 전시 전경달항아리, 피안의 세계를 담다18세기 잠시 나타났다 사라졌다고 여겼던 백자대호가 300년이 지나 다시 주목 받는다. 달항아리가 가지는 동 시대성을 의미하는 것일까? 점차 개별화되고 간결한 미를 추구하는 현대인의 라이프 스타일에 이만큼 부합하는 것도 없다. 무채색 흰 빛깔과 살짝 일그러지며 흐르는...
-
- 2024 고흥분청문화박물관 입주작가 성과 기획전 《분청변주》_2025.1.27.~3.30.
- 1. 27. ~3. 30. 고흥분청문화박물관 기획전시실젊은 도예가들의 3색 분청 변주곡2024년 고흥분청문화박물관 레지던시 프로그램에는 윤준호, 전희은, 이정빈 3명의 젊은 작가들이 입주해 작업했다. 윤준호 작가는 올해 레지던시 입주 5년 차로 4년간 레지던시에서 계획하고 실험, 모색해 온 것들을 정리, 완성하는 동시에 올해는 특별히 귀얄과 분.
-
- 국립중앙박물관 특별전 《푸른 세상을 빚다, 고려 상형청자》_2024.11.26.~3.3.
- 2024. 11. 26. ~3. 3.국립중앙박물관 특별전시실 2상형청자의 다채로운 세계를 조명하다지난 2024년 11월 26일부터 2025년 3월 3일까지 국립중앙박물관에서 개최한 특별전 《푸른 세상을 빚다, 고려 상형청자》는 고려 시대 상형청자象形靑磁를 단독 주제로 집중 조명하는 전시였다. 상형청자象形靑磁란 인물, 동물, 식물 등의 형상을 본떠 만든 청자...
-
- 《한국현대도자공예:영원의 지금에서 늘 새로운》_2024.11.21.~5.6.
- 2024. 11. 21. ~5. 6. 국립현대미술관 과천관국립현대미술관 제공 ⓒ박정훈30년 만에 다시 보는 한국현대도예현대도예의 태동과 오늘인간과 예술에 관한 논의를 할 때면 흔히 최초의 미술품인 선사시대의 동굴벽화를 화두로 삼는다. 당시의 문화나 신앙 등 사회 상황을 잘 담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에서라면 토기나 장신구 등과 같은 초...
-
- [특집I] 흙과 시간, 손이 빚어낸 흔적_김덕호 작가 인터뷰
- 흙을 쌓아 층층이 패턴을 빚는 연리문連理紋. 김덕호 작가는 이 기법으로 흙의 물성과 자연의 흔적을 도자에 담는다. 물레 위에서 색 점토가 겹겹이 쌓이고, 손끝으로 깎이며 완성되는 그의 작업은 전통과 현대가 얽힌 시간을 드러낸다. 연리문은 단순 장식이 아니라, 흙과 장인의 대화 속에서 피어나는 생생한 기록이다.청화백자에서 피어..
-
- [특집II] 백연리에 담긴 기억의 층_김인식 작가 인터뷰
- 「器憶 2411-5」 ⵁ28×h36.5cm | 1250℃, RF, 무유, 연마◎ 연리 작업을 통해 기억을 형상화하고 계시는데, 흙을 쌓고 깎아내는 과정이 작가님이 떠올리는 기억의 형성과 소멸 과정과 어떤 연관이 있는지 궁금합니다.사람의 기억은 삶이라는 과정 안에서 점점 잊히기도 하지만, 특정 장소나 음악, 어떠한 향기나 인물 등을 접하게 되며 망각하고...
-
- [특집III] 연리문에 깃든 시간의 흐름_조신현 작가 인터뷰
- 조신현 작가는 연리문 기법을 현대 도예의 확장 가능성을 보여주는 요소라 말한다. “전통 공예는 실용성을 기반으로 했지만, 현대 도예는 개념적 예술로 확장되고 있어요. 연리문은 이 둘을 연결하는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죠.” 그는 연리문의 본질을 ‘시간을 담아내는 기법’으로 정의하며, 이를 통해 감각적이고 개념적인 ...
-
- 꼼꼼하게 찍은 인화문에 그의 인생이 담긴다_김진규
- 투박하지만 자유롭고, 청자나 백자에 비해 다양한 표현 기법으로 한국적 미를 보여주는 분청은 세계 유일 한국에만 있는 도자기다. 철화, 조화, 박지, 상감, 인화 등 무늬를 넣는 방법에 따라 독특하고 다양한 미감을 보여준다. 그 중 인화문 작업에 매료되어 25년간 인화분청을 만들어 온 김진규 작가는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작품을 통해 .
-
- 도예가 한종규 흙으로 구현한 순수 추상
- 「variation」 39.5×39.5×6cm | 슬립캐스팅, 슬립소지, 안료, 백매트유, 수금 | 2022최근 동시대 도예의 흐름을 살펴보면, 현대 도예가 현대미술에서 다루는 다양한 표현기법이나 작업의 주제를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있음을 쉽게 알 수 있다. 특히 작가들의 작업 주제에 있어 다변화가 이루어진 점이 주목된다. 형태와 색상 등 기본적인 도자...
- 특집더보기
-
-
- [특집I] 흙과 시간, 손이 빚어낸 흔적_김덕호 작가 인터뷰
- 흙을 쌓아 층층이 패턴을 빚는 연리문連理紋. 김덕호 작가는 이 기법으로 흙의 물성과 자연의 흔적을 도자에 담는다. 물레 위에서 색 점토가 겹겹이 쌓이고, 손끝으로 깎이며 완성되는 그의 작업은 전통과 현대가 얽힌 시간을 드러낸다. 연리문은 단순 장식이 아니라, 흙과 장인의 대화 속에서 피어나는 생생한 기록이다.청화백자에서 피어..
-
- [특집II] 백연리에 담긴 기억의 층_김인식 작가 인터뷰
- 「器憶 2411-5」 ⵁ28×h36.5cm | 1250℃, RF, 무유, 연마◎ 연리 작업을 통해 기억을 형상화하고 계시는데, 흙을 쌓고 깎아내는 과정이 작가님이 떠올리는 기억의 형성과 소멸 과정과 어떤 연관이 있는지 궁금합니다.사람의 기억은 삶이라는 과정 안에서 점점 잊히기도 하지만, 특정 장소나 음악, 어떠한 향기나 인물 등을 접하게 되며 망각하고...
-
- [특집III] 연리문에 깃든 시간의 흐름_조신현 작가 인터뷰
- 조신현 작가는 연리문 기법을 현대 도예의 확장 가능성을 보여주는 요소라 말한다. “전통 공예는 실용성을 기반으로 했지만, 현대 도예는 개념적 예술로 확장되고 있어요. 연리문은 이 둘을 연결하는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죠.” 그는 연리문의 본질을 ‘시간을 담아내는 기법’으로 정의하며, 이를 통해 감각적이고 개념적인 ...
- 전시더보기
-
-
- 이동식의 달항아리_2025.1.17.~2.15.
- 1. 17. ~2. 15. 운중화랑 전시 전경달항아리, 피안의 세계를 담다18세기 잠시 나타났다 사라졌다고 여겼던 백자대호가 300년이 지나 다시 주목 받는다. 달항아리가 가지는 동 시대성을 의미하는 것일까? 점차 개별화되고 간결한 미를 추구하는 현대인의 라이프 스타일에 이만큼 부합하는 것도 없다. 무채색 흰 빛깔과 살짝 일그러지며 흐르는...
-
- 2024 고흥분청문화박물관 입주작가 성과 기획전 《분청변주》_2025.1.27.~3.30.
- 1. 27. ~3. 30. 고흥분청문화박물관 기획전시실젊은 도예가들의 3색 분청 변주곡2024년 고흥분청문화박물관 레지던시 프로그램에는 윤준호, 전희은, 이정빈 3명의 젊은 작가들이 입주해 작업했다. 윤준호 작가는 올해 레지던시 입주 5년 차로 4년간 레지던시에서 계획하고 실험, 모색해 온 것들을 정리, 완성하는 동시에 올해는 특별히 귀얄과 분.
-
- 국립중앙박물관 특별전 《푸른 세상을 빚다, 고려 상형청자》_2024.11.26.~3.3.
- 2024. 11. 26. ~3. 3.국립중앙박물관 특별전시실 2상형청자의 다채로운 세계를 조명하다지난 2024년 11월 26일부터 2025년 3월 3일까지 국립중앙박물관에서 개최한 특별전 《푸른 세상을 빚다, 고려 상형청자》는 고려 시대 상형청자象形靑磁를 단독 주제로 집중 조명하는 전시였다. 상형청자象形靑磁란 인물, 동물, 식물 등의 형상을 본떠 만든 청자...
-
- 《한국현대도자공예:영원의 지금에서 늘 새로운》_2024.11.21.~5.6.
- 2024. 11. 21. ~5. 6. 국립현대미술관 과천관국립현대미술관 제공 ⓒ박정훈30년 만에 다시 보는 한국현대도예현대도예의 태동과 오늘인간과 예술에 관한 논의를 할 때면 흔히 최초의 미술품인 선사시대의 동굴벽화를 화두로 삼는다. 당시의 문화나 신앙 등 사회 상황을 잘 담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에서라면 토기나 장신구 등과 같은 초...
-
- 대한민국분청도자대전 15년의 발자취
- 전시전경김해분청도자박물관은 1월 24일부터 3월 30일까지 기획전 시실에서 을 주제로 한 특별 전시를 개최했다. 이번 전시는 우리나라 최초의 분청도자 전국 공모전인 이 걸어온 15년간의 발자취를 조명하고, 현대 분청도자의 흐름을 한눈에 살펴볼 수 있도록 기획되었다.은 분청도자의 우수성과 미적 가치를 널리 알리고, 전통과 현대를 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