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동네 숨은공방 찾기_충북
- 옹기종기강경훈수강,상품충북 괴산군 연풍면 원풍로 224-11010-2858-8657to-gi@hanamail.net청강도예강의승수강,상품충북 청주시 청원구 내수읍 형동1길 40-24010-5462-94645167ku@naver.com도담요김계순수강,상품충북 영동...
- 2024-06-25
-
- 우리동네 숨은공방 찾기_전북,전남,광주,경북,울산,부산
- 전북혼불체험관박종선수강·상품전북 남원시 사매면 노봉길67-61010-9688-9690sun4973@naver.com뜰안에 공방정마자수강·상품전북 전주시 완산구 우림로 785-41010-8784-9886rlatlwja@naver.com순창옹기체험관권지영...
- 2024-06-25
-
- 우리동네 숨은공방 찾기_인천,강원,충남,세종
- 인천도예공방 담김현수강·상품인천시 미추홀구 인하로 221번길 21010-6424-6454blog.naver.com/dam-1230강원도토리도자기공방전정희수강·상품강원도 평창군 대화면 대화중앙로 40010-8878-2393jjh2393@naver.com충...
- 2024-06-24
-
- 우리동네 숨은공방 찾기_경기
- 유소도예정설아수강경기도 김포시 김포한강1로 230 현대센트럴스퀘어 803호010-7912-8303yousoceramic.modoo.at아트센터움정현수수강·상품경기도 화성시 정남동로 59-7010-4074-0501blog.naver.com/artscenterwom클레공방이...
- 2024-06-24
-
- 우리동네 숨은공방 찾기_서울
- 도예공방 화목토최선주수강·상품서울시 강동구 상암로63길 6-17010-8755-0366www.hwamokto.co.kr여기는 여름권하늘수강·상품서울시 노원구 노원로1길 100(공릉동)010-9210-2921@hanori_ceramic수유화개김경자수강&...
- 2024-06-24
- 도예마당더보기
-
-
- 제12회 하모니국제도예프랜드십 페스티벌 ‘하모니&양구’
- 다름을 즐기고 다채로움을 완성하다2013년, 한국, 캐나다, 중국 국적의 6명의 도예가는 괴산 조령민속공예촌에 모여 함께 작품을 만들고 각국의 전통 음식을 만들어 나눠 먹었다. 이 작은 모임이 올해로 12회를 맞는 하모니국제도예프랜드십 페스티벌의 시작이다. 따스한 햇살과 시원한 바람이 기분 좋은 초여름, 괴산과 양구의 푸르 른 자연 .
-
- 동아시아 도자문화 교류의 새로운 장봉황산경 鳳凰山景
- 백제기와 교류 워크숍을 통한 문화유산의 현대적 계승백제百濟는 기원전 18년부터 660년까지 678년간 한반도 서남부를 중심으로 번영했던 고대 국가였다. 그러나 신라와 당나라 연합군에 의해 멸망하면서 백제의 찬란했던 문화와 기술은 상당 부분 역사 속으로 사라져 버렸다. 승자의 기록이 역사가 되는 현실 속에서 백제에 관한 문헌 기록..
-
- 천 년 한옥-천 년 도자기 동시대예술의 융복합 지향 복합문화예술공간 ‘일루와유 달보루’
- 일루와유 달보루 전경지난 1월 햇살 좋은 날 오후에 은평한옥마을에 있는 일루와유 달보루에서는 문화예술 기획자, 감독, 작가, 평론가 등 음악, 미술, 공연, 기술기반예술, 다원예술까지 다양한 분야를 아우르는 전문가들의 신년 모임이 있었다. 동시대 예술의 최전선에서 활동하고 있는 30여 명이 모여, 함께한 감독의 신작 영상 감상을 시..
-
- [김대환 교수의 문화재 기행 53] 백자 청화 산수누각무늬 사각병 白磁靑畵山水樓閣紋四角甁
- 사진1) 「백자 청화 산수누각무늬 사각병」 조선시대 | 높이 18cm, 입지름 4cm, 바닥굽 9.5×9.5cm조선 후기의 문예부흥기로 일컬어지는 18세기에 들어서면 조선백자는 몸통이 각이 진 각형자기角形磁器가 새롭게 등장하게 된다. 각형자기는 물레로 원형의 자기를 성형한 후에 이른바 ‘모깎기 기법’을 하여 표면이 각이 지게 만든 기법...
-
- [소소담화43] 한국 공예 전시기획의 아카이빙 활용과 클리셰 (cliché)
- 공예에서 재료, 기술, 형태를 기반으로 한 분류체계와 지칭의 역사는 매우 깊다. 흙, 유리, 나무, 섬유, 금속 등 각 재료를 기반으로 공예의 영역을 분류하는 것, 작업자들을 재료에 가家를 붙여 지칭하는것 역시 재료, 기술, 형태를 기반으로 공예를 이해, 접근해 온 오랜 관습이다. 문제는 공예가 실용적 사물 혹은 그것을 만드는 기술에서 벗...
-
- [에세이 ESSAY 7] 그릇이 된 생각들_물독모심
- 아끼는 책이 있다. 한글학회에서 1966년 발간하여 1985년에 완간한 『한국지명총람』이다. 흙이란 것이 땅에서 왔으니 그 땅을 알고자 할 때 땅이름, 지명地名을 알면 그 이름만으로도 많이 알아진다. 또 옹기의 몸흙이 퇴적점토이니까 지명을 통해 지나온 과정, 땅의 이력을 먼저 본다. 그런데 전혀 다르게 예언지명이란 것이 또 있다. 용담龍.
- 칼럼/학술더보기
-
-
- [김대환 교수의 문화재 기행 53] 백자 청화 산수누각무늬 사각병 白磁靑畵山水樓閣紋四角甁
- 사진1) 「백자 청화 산수누각무늬 사각병」 조선시대 | 높이 18cm, 입지름 4cm, 바닥굽 9.5×9.5cm조선 후기의 문예부흥기로 일컬어지는 18세기에 들어서면 조선백자는 몸통이 각이 진 각형자기角形磁器가 새롭게 등장하게 된다. 각형자기는 물레로 원형의 자기를 성형한 후에 이른바 ‘모깎기 기법’을 하여 표면이 각이 지게 만든 기법...
-
- [소소담화43] 한국 공예 전시기획의 아카이빙 활용과 클리셰 (cliché)
- 공예에서 재료, 기술, 형태를 기반으로 한 분류체계와 지칭의 역사는 매우 깊다. 흙, 유리, 나무, 섬유, 금속 등 각 재료를 기반으로 공예의 영역을 분류하는 것, 작업자들을 재료에 가家를 붙여 지칭하는것 역시 재료, 기술, 형태를 기반으로 공예를 이해, 접근해 온 오랜 관습이다. 문제는 공예가 실용적 사물 혹은 그것을 만드는 기술에서 벗...
-
- [에세이 ESSAY 7] 그릇이 된 생각들_물독모심
- 아끼는 책이 있다. 한글학회에서 1966년 발간하여 1985년에 완간한 『한국지명총람』이다. 흙이란 것이 땅에서 왔으니 그 땅을 알고자 할 때 땅이름, 지명地名을 알면 그 이름만으로도 많이 알아진다. 또 옹기의 몸흙이 퇴적점토이니까 지명을 통해 지나온 과정, 땅의 이력을 먼저 본다. 그런데 전혀 다르게 예언지명이란 것이 또 있다. 용담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