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선식 《관음요 다미 탄생 특별전》_2024.8.19.~8.26.
- 8. 19. ~8. 26. 한전아트센터 관음요 김선식 사기장이 새롭게 런칭한 장작불 생활자기 브랜드 ‘다미’ 특별전을 가졌다. ‘다미’는 ‘모든 것을 ...
- 2024-09-04
-
- 김수일 《트레일 온 더 유니버스 Trail on the Universe》_2024. 8.14.~8.20.
- 8. 14. ~8. 20. 갤러리은 김수일 작가는 이번 개인전을 통해 생명의 장, 우주가 남긴 자국을 목도하고, 추적한 도상들을 선보였다. 작가가 주목한 것은 텅 빈 암흑 ...
- 2024-09-04
-
- 김재규 《시시변이》_2024.8.14.~8. 26
- 8. 14. ~8. 26. 토포하우스 갤러리 김재규는 꽃과 날개가 달린 천마天馬를 통해 한 편의 우화를 연상케 하는 전시를 선보였다. 때와 시에 따라 형상을 달리하는 동...
- 2024-09-04
-
- 김준명 《개더링 gathering》_2024.8.14.~8.18.
- 8. 14. ~8. 18. 포네티브 스페이스 김준명 작가는 마치 본인이 조물주인 것처럼 산맥을 조각하거나, 공간을 점유하는 사물을 낯설게 변모시킨다. 거대한 자연을 ...
- 2024-09-04
-
- 박재형 《진짜 나》_2024.8.12.~8.31.
- 8. 12. ~8. 31. 솔트갤러리 박재형 작가는 도자 조형과 미디어 아트를 융합해 인간의 순수한 의식과 작용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한다. 작가 본인을 대변하는 캐릭터 ...
- 2024-09-04
-
- 슈니따, 오제성 《도깨비: 멀티 페르소나》_2024.8.7.~8.31.
- 8. 7. ~8. 31. 지우헌 갤러리 슈니따 作이번 전시는 ‘한국적인 판타지란 무엇인가’라는 근원적인 질문에서 출발해 도깨비와 멀티 페르소나, 두 개념을 아...
- 2024-09-04
-
- 문찬석 《달빛을 품고 다향에 취하다》_2024.8.14.~8.19.
- 8. 14. ~8. 19. 갤러리 인사아트 문찬석 작가는 흙과 불이 만나 우연하게 잉태되는 요변을 드러낸 달항아리와 차 도구를 선보였다. 30여 년 동안 여주 백토와 달항...
- 2024-09-04
-
- 조성현, 배주은 《마음의 투영》_2024.8.13.~9.11.
- 8. 13. ~9. 11. 라니 서울 이번 전시는 조성현 작가의 순백색 달항아리와 배주은 작가의 연필 드로잉 작품을 함께 선보였다. 조성현은 무른 성질의 백토를 단단한 ...
- 2024-09-04
-
- 법고창신 《아름다운 우리 그릇》_2024.6.1.~8.3.
- 6. 1. ~8. 3. 제주공예박물관 청자, 분청, 백자 등 전통도자 각 분야의 중견작가 14인이 모인 법고창신은 결성 15주년을 맞이했다. 전통에 깃든 고유의 본색을 간직...
- 2024-09-04
-
- 서울여대 도자공예전공 석사학위청구전_2024.8.14.~8.21.
- 8. 14. ~8. 21. 바롬갤러리 진윤희 作이번 석사학위청구전에는 진윤희, 남아영, 주세은 작가가 도전적인 작업으로 도예의 새 시각을 전하는 작품을 선보였다. 진...
- 2024-09-04
-
- 윤석경 《콜링 Calling》_2024.7.28.~8.30.
- 7. 28. ~8. 30. 버금아트센터 윤석경 작가는 삶의 고난, 역경을 극복하기 위한 종교적 실천으로 십자가를 눌러 빚는 작업을 이어 왔다. 태토의 원형을 온전히 발굴...
- 2024-09-04
-
- 그룹 공 《의자 같이 쓰기》_2024.7.17.~8.4.
- 7. 17. ~8. 4. KCDF 갤러리 ‘그룹 공’은 의자의 기능적 요소를 넘어서 아트피스로서의 디자인을 제시하는 모임이다. 이번 전시는 재료 본연의 특성을 극대...
- 2024-09-04
-
- 이정민 《비 본 Be Born》_2024.8.7.~8.13.
- 8. 7. ~8. 13. 경인미술관 이정민 작가는 이번 전시의 주제를 ‘탄생’으로 삼았다. 손에 머물러 있던 흙이 시간과 맞물려 어느새 쓰임이 있는 것으로 탈바...
- 2024-09-04
-
- 한세리 《셀라돈 페어리테일 Celadon Fairytale》_2024.7.29.~8.7.
- 7. 29. ~8. 7. 예올 북촌가 동화적 분위기의 오브제와 생활자기 작업을 선보여 온 한세리 작가가 이번 전시에선 전통 고려청자의 재해석을 선보였다. 작가는 청자...
- 2024-09-04
-
- 《토요일의 여름》_2024.8.20.~8.25.
- 8. 20. ~8. 25. 대전예술가의 집 토요일은 ‘흙과 가마로 하는 일’이라는 의미를 지닌 신진 도예작가 11인의 모임이다. 이번 전시는 여름 풍경을 둘러싼 각자의 ...
- 2024-09-04
-
- 오늘의 날+씨 《직조, 그 짜임과 쓰임》
- 6. 26. ~7. 14. KCDF갤러리 섬유 작가 그룹 ‘오늘의 날+씨’는 날실과 씨실을 교차시켜 고유의 직물을 직조하는 모임이다. 기존의 산업 직물의 목적성에서 ...
- 2024-08-05
-
- 강윤실 《바람섬의 제주돌집》
- 7. 13. ~7. 18. 이중섭창작스튜디오갤러리 ‘돌집 짓는 도예가’ 강윤실 작가는 제주 흙과 화산송이를 이용해 제주 고택들을 그만의 감각으로 재구성한다. ...
- 2024-08-05
-
- 김상대 《Ducks: 아올다》
- 7. 17. ~7. 23. 경인미술관 김상대 작가는 수백, 수천의 오리 조형 유닛을 캔버스에 첩화하여 군무하는 오리떼의 흐름을 화면에 펼쳐보였다. 1cm 남짓의 오리를 일...
- 2024-08-05
- 전시더보기
-
-
- 2024성남작가조명전4 《고혜숙: 공간을 유영 遊泳하는 대화》_2024.8.30.~10.20.
- 8. 30. ~10. 20. 성남큐브미술관 반달갤러리사-잇길에서 나를 찾다.고혜숙의 작품 제목인 「사-잇길 Inbetween」은 그의 작업의 정체성과 지향점을 잘 압축하고 있다. 그는 전통과 현대, 물질과 정신, 사람과 자연, 사람과 사람의 관계 사이를 주제로 작업하고 있다. 그의 작업의 주제이자 추구하는 방향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기 위해 한국의 전통에 ...
-
- 대부도 유리섬박물관 기획전 2024 《현대미술–오브제》_2024.10.8.~25.2.2.
- 10. 8. ~25. 2. 2. 유리섬박물관물질에서 유출한 동시대 미술의 사물성과 시각언어의 다채로움예술가의 정신이 형태가 되려면 물질la mariere이 필요하다. 예술가의 정신이 결여된 물질은 단지 자연의 질료에 불과하다. 물질은 고유의 형상, 색채, 질감, 밀도, 결을 가지고 있다. 물질이 예술의 언어가 되려면 예술가의 정신만으로는 부족하며 현실.
-
- 2024 충북의 공예가 기획전 《네 가지, 그러한 것》 11. 5. ~2025. 1. 14.
- 11. 5. ~2025. 1. 14. 문화제조창 본관 3층 청주시한국공예관 갤러리 3자연스레 그리된 관계에 관하여청주시한국공예관의 2024 충북공예가 기획전 《네 가지, 그러한 것》이 지난 11월 막을 올렸다. 청주시한국공예관은 지역문화의 가치를 높이고 경제 활성화와 도시재생을 위해 노력하는 미술관으로, 2001년 설립 이후 지역 예술가를 발굴하고 지원...
-
- 김명주 《Au bord de l’infini (무한의 가장자리에서)》_2024.10.26.~11.30.
- 10. 26. ~11. 30. P21(피투원)생의 한가운데나는 작가라는 존재들에게 신비에 가까운 경의와 무한한 감사를 가지고 있는 사람 중의 한 명이다. 가장자리에서 서성이던 나를 그 한가운데에 있는 누군가가 불러줘야만 비로소 만날 수 있는 예술의 세계는 내게 언제나 신비로운 것이었고, 내면에서 발화한 자신만의 특별한 세계를 자기 안에만 남기..
-
- 김영옥 《오늘과 내일 Moment in Time》_2024.11.15.~12. 6.
- 11. 15. ~12. 6. 호호재 서울오늘과 내일죽음에 대한 사유는 끊이지 않는다. 삶의 통과 의례이며 모든 시대와 문화에서 인간의 가장 중요한 탐구 주제 중 하나였다. 고대부터 현대까지 철학, 종교, 예술, 기술 등 각 분야는 저마다의 관점과 방식으로 미지의 세계인 죽음에 대해 깊이 있게 성찰해왔다. 메멘토 모리Memento Mori ‘죽음을 기억하라&...
-
- 김덕호 《시간이 흐르고 계절이 바뀌는 것처럼》_2024.11.7.~11.13.
- 11. 7. ~11. 13. 월WOL삼청시간이 흐르고 계절이 바뀌는 것처럼우리 모두는 각자의 시간에 자신의 것들을 쌓아 나간다. 무엇을 쌓아 나가느냐는 온전히 자신의 몫이며 쌓여가는 시간들은 흔적을 남기며 삶 그 자체가 된다. “시간이 흐르고 계절이 바뀌는 것처럼 의도하거나 계획하지 않음에도 나의 삶의 흔적들은 작품에 자연스럽게 배어 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