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제주도예가회 <제주 食이야기>
- 제주도예가회 <제주 食이야기>12.29.~2023.1.7. 심헌갤러리 제주도예가회의 21회 정기전 <제주 食이야기>가 12월 29일부터 1월 7일까지 심헌갤러리에서 열렸다. 제주지역에서 활동하고 있는 도예가 17명...
- 2023-02-13
-
- <공예이기工藝理氣>
- <공예이기工藝理氣> 1.11.~2.4. 아트스페이스3 젊은 공예가 11인이 참여한 <공예이기>가 1월 11일부터 2월 4일까지 아트스페이스3에서 열린다. 이번 전시는 한국의 정신 철학인 성리학(性理學)에서 기...
- 2023-02-13
-
- 디자이너와 명장의 만남 <디알로그>
- 디자이너와 명장의 만남 <디알로그>1.5.~2.5. 매스갤러리 한국 디자이너 칼슨 홍과 스위스 디자이너 자비에 페레누, 도예명장 김흥배 3인이 참여한 <디알로그 Dialogue>가 1월 5일부터 2월 5일까지 서울 ...
- 2023-02-13
-
- 큐레이터의 전시 읽기 | 버무림의 맛
- 큐레이터의 전시 읽기 | 버무림의 맛글. 문유진 독립큐레이터 사진.재단법인 아름지기 제공《고려味려: 추상하는 감각》 2022.8.30.~11.15. 아름지기 통의동 사옥참여작가 (강석근, 강웅기, 김혜정, 류연희, 양...
- 2023-02-10
-
- 전시 <백자, 어떻게 흙에다가 체온을 넣었을까>
- 전시토픽 | 조선에서 현대까지, 한국 백자의 다양한 얼굴과 만나다
글.고미경 서울공예박물관 학예연구자 사진.서울공예박물관 제공
전시는 2023년 1월 29일까지 서울공예박물관 전시1동 1층 기획전...
- 2023-02-10
-
- 양구 도예가를 새로 읽다
- 전시토픽 | 양구 도예가를 새로 읽다
글.이연주 편집장 사진.양구백자박물관 제공
양구의 도예가전2022.12.2.~2023.1.29. 양구백자박물관 참여작가 (강고운, 권기현, 김대웅, 김덕호, 김시월, 김영아, 김...
- 2023-02-10
-
- 낮과 밤 사이에서 오늘을 살아가는 당신과 나의 이야기
- 전시리뷰 | 낮과 밤 사이에서 오늘을 살아가는 당신과 나의 이야기
글.한정운 한국도자재단 큐레이터
김애영 세 번째 개인전 11.2.~11.12. 스페이스 금채
김애영 작가는 그간 코발트의 역사를 서...
- 2023-02-10
-
- 김수민 작가의 7번째 개인전 <코드 부다 code:buddha>
- 김수민 작가의 7번째 개인전 <코드 부다 code:buddha>12.7.~13. 산목&휘 갤러리글. 서희영 객원기자
김수민 작가의 7번째 개인전 ‘코드 부다 code:buddha’ 전이 12월 7일~13일까지 산목&휘 갤러리에서 ...
- 2023-02-10
-
- 여진희 <정진>
- 여진희 10.26.~11.1. 경인미술관
여진희 도예가의 첫 번째 개인전 이 10월 26일에서 11월 1일까지 경인미술관에서 열렸다. ‘정진’은 전 통을 의미 있게 가꾼다는 의미로, 이번 전시엔 ‘버선’을 모티브...
- 2023-02-09
-
- 박영호 유리공예전 from the drop
- 박영호 유리공예전 from the drop11.16.~11.21. 갤러리밈
박영호 유리공예가의 첫 번째 개인전 이 11월 16일부터 21일까지 갤러리밈에서 열렸다. 이번 전시는 ‘잉크가 물에 떨어져 퍼지는 형상’을 주제로 생성과...
- 2023-02-09
-
- 김지영 금속공예전 <달의 뒤>
- 김지영 금속공예전 <달의 뒤>11.16.~11.21. KCDF갤러리
김지영 금속공예가의 다섯 번째 개인전 <달의 뒤Back of the Moon>가 11월 16일부터 21일까지 KCDF갤러리에서 열렸다. 이번 전시는 ‘비어있는 공간’...
- 2023-02-09
-
- 프리츠한센, 무형문화재 장인들과 협업전 <코리아 프로젝트>
- 프리츠한센, 무형문화재 장인들과 협업전 <코리아 프로젝트> 11.12.~12.11. 문화역서울284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과 리빙브랜드 프리츠한센이 공동주관한 <프리츠한센 150주년 기념 전시–영...
- 2023-02-09
-
- 구기선 옻칠공예전 <전통과 변용: 절제된 자유로움>
- 구기선 옻칠공예전 <전통과 변용: 절제된 자유로움>11.12.~11.22. 심헌갤러리
구기선 공예가의 <전통과 변용>전은 익숙한 관념과 지식으로부터 벗어나 사고의 폭을 한 단계 확장하고자 하는 작업...
- 2023-02-09
-
- 클레이아크김해미술관 세라믹창작센터 입주작가전 <감각적 연대>
- 클레이아크김해미술관 세라믹창작센터 입주작가전 <감각적 연대>
11.25.~2023.3.26. 클레이아크김해미술관 클레이아크김해미술관의 세라믹창작센터 입주작가전 <감각적 연대Sentimental Solidarity>...
- 2023-02-09
-
- 신정현·김유미 <시간의 틈>
- 신정현·김유미 <시간의 틈>11.9.~11.21. 갤러리인사1010
토림도예의 신정현, 김유미 작가가 자신들의 이름으로 선보인 첫 전시 <시간의 틈>이 11월 9일부터 21일까지 갤러리인사 1010에서 열렸다. ‘차...
- 2023-02-09
-
- 이재용 <토기식물원>
- 이재용 <토기식물원>11.14.~11.20. 밴가드원Vanguard1 아트센터 갤러리
이재용 도예가의 두 번째 개인전 <토기식물원>이 11월 14일부터 20일까지 밴가드원Vanguard1에서 열렸다. 이번 전시는 백제토기의 ...
- 2023-02-09
-
- 이한길 <달을 품다22>
- 이한길 <달을 품다22>11.16.~11.21. 갤러리 인사아트
이한길 도예가의 개인전 <달을 품다22>가 11월 16일부터 21일까지 6일간 갤러리 인사아트에서 열렸다. 매년 달항아리를 선보였던 작가가 올해 제...
- 2023-02-09
-
- 온영미 <복선>
- 온영미 <복선>11.2.~11.7. KCDF갤러리
온영미 도예가의 첫 번째 개인전 <복선福仙>이 11월 2일부터 7일까지 KCDF갤러리에서 열렸다. 이번 전시는 ‘수호신’를 주제로 복주머니 형상에 길상의 상징을 ...
- 2023-02-09
- 도예마당더보기
-
-
- 제12회 하모니국제도예프랜드십 페스티벌 ‘하모니&양구’
- 다름을 즐기고 다채로움을 완성하다2013년, 한국, 캐나다, 중국 국적의 6명의 도예가는 괴산 조령민속공예촌에 모여 함께 작품을 만들고 각국의 전통 음식을 만들어 나눠 먹었다. 이 작은 모임이 올해로 12회를 맞는 하모니국제도예프랜드십 페스티벌의 시작이다. 따스한 햇살과 시원한 바람이 기분 좋은 초여름, 괴산과 양구의 푸르 른 자연 .
-
- 동아시아 도자문화 교류의 새로운 장봉황산경 鳳凰山景
- 백제기와 교류 워크숍을 통한 문화유산의 현대적 계승백제百濟는 기원전 18년부터 660년까지 678년간 한반도 서남부를 중심으로 번영했던 고대 국가였다. 그러나 신라와 당나라 연합군에 의해 멸망하면서 백제의 찬란했던 문화와 기술은 상당 부분 역사 속으로 사라져 버렸다. 승자의 기록이 역사가 되는 현실 속에서 백제에 관한 문헌 기록..
-
- 천 년 한옥-천 년 도자기 동시대예술의 융복합 지향 복합문화예술공간 ‘일루와유 달보루’
- 일루와유 달보루 전경지난 1월 햇살 좋은 날 오후에 은평한옥마을에 있는 일루와유 달보루에서는 문화예술 기획자, 감독, 작가, 평론가 등 음악, 미술, 공연, 기술기반예술, 다원예술까지 다양한 분야를 아우르는 전문가들의 신년 모임이 있었다. 동시대 예술의 최전선에서 활동하고 있는 30여 명이 모여, 함께한 감독의 신작 영상 감상을 시..
-
- [김대환 교수의 문화재 기행 53] 백자 청화 산수누각무늬 사각병 白磁靑畵山水樓閣紋四角甁
- 사진1) 「백자 청화 산수누각무늬 사각병」 조선시대 | 높이 18cm, 입지름 4cm, 바닥굽 9.5×9.5cm조선 후기의 문예부흥기로 일컬어지는 18세기에 들어서면 조선백자는 몸통이 각이 진 각형자기角形磁器가 새롭게 등장하게 된다. 각형자기는 물레로 원형의 자기를 성형한 후에 이른바 ‘모깎기 기법’을 하여 표면이 각이 지게 만든 기법...
-
- [소소담화43] 한국 공예 전시기획의 아카이빙 활용과 클리셰 (cliché)
- 공예에서 재료, 기술, 형태를 기반으로 한 분류체계와 지칭의 역사는 매우 깊다. 흙, 유리, 나무, 섬유, 금속 등 각 재료를 기반으로 공예의 영역을 분류하는 것, 작업자들을 재료에 가家를 붙여 지칭하는것 역시 재료, 기술, 형태를 기반으로 공예를 이해, 접근해 온 오랜 관습이다. 문제는 공예가 실용적 사물 혹은 그것을 만드는 기술에서 벗...
- 뉴스단신더보기
-
-
- 막사발 실크로드 여정 마감, 김용문 교수 별세
- 도예가 김용문 교수께서 지난 7월 3일 향년 68세의 일기로 암 투병 끝에 영면하셨다. 고인은 경기도 오산 출신으로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공예과와 대학원을 졸업하고, 1980년대 초 《토우전》을 시작으로 국내외에서 약 40여 회의 개인전을 열며, 특히 전통 분청사기인 막사발의 세계화에 힘쓰셨다. 완주 세계막사발미술관의 관장을 역임하며, ...
-
- 2025 공예주간 성과공유회 개최, 우수 프로그램 시상
-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공진원)은 7월 2일 인사동 KCDF갤러리에서 ‘2025 공예주간 성과공유회’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는 전국 27개 도시에서 진행된 공예주간의 주요 성과를 공유하고 향후 발전 방향에 대해 논의했다. 올해 공예주간에는 약 17만 명이 참여하며 작년 대비 26% 증가한 관람객 수를 기록, 공예문화.
-
- 유홍준, 국립중앙박물관 신임 관장 취임
- 미술사학자이자 문화재 행정가인 유홍준 교수가 7월 21일 제22대 국립중앙박물관장에 공식 취임했다. 유 관장은 앞으로 국립중앙박물관을 비롯한 전국 13개 국립박물관을 총괄하게 된다. 취임식은 이날 오후 2시, 용산 국립중앙박물관 소강당에서 진행됐다.유 관장은 서울대 미학과, 홍익대 대학원 미술사학과, 성균관대 동양철학과에서 수학...
-
- 한향림도자미술관, 여름방학 <빙수컵 만들기> 체험 운영
- 한향림도자미술관이 여름방학을 맞아 도자 체험, 카페 이벤트, 전시 관람이 연계된 을 운영한다. 주요 프로그램인 는 초벌된 도자기 빙수컵과 스푼에 세라믹 물감으로 나만의 여름 이미지를 그려 넣는 도자 채색 체험으로, 참가자는 수박빙수, 바다풍경 등 자유로운 발상으로 여름을 표현할 수 있다. 완성된 도자기는 2주 후 수령 가능하다. .
-
- 청주공예비엔날레, 유럽 미켈란젤로재단과 글로벌 파트너십 체결
- 신설, 2025년 유럽 초청 기회까지 확대청주공예비엔날레 조직위원회는 6월 25일, 유럽의 공예 전문 진흥기관 미켈란젤로재단(The Michelangelo Foundation for Creativity and Craftsmanship)과 온라인 방식으로 글로벌 파트너십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로써 재단은 2025 청주공예비엔날레 국제자문관으로 공식 합류하며, 국제공예공모전 본선 진출작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