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024년 무명 선인도공 추모 도공제>
- 지난 11일, 여주도자기축제의 일환으로 열린 가 여주도자문화센터 인근에서 성대하게 개최됐다. 이번 행사는 여주도자기사업협동조합의 주관 아래 진행됐다....
- 2024-07-02
-
- 청평고을 옹기연구소, (주)우리술 지정 연구소로 새롭게 출범
- 국내 막걸리 수출 1호 기업이자 30여 종의 막걸리를 자체 생산하는 (주)우리술이 청평고을 옹기연구소를 지정 연구소로 새롭게 지정했다. 이로써 청평고을 옹...
- 2024-07-02
-
- LF푸드 하코야, 한국도자기 리빙 리한과 콜라보로 여름 소바 신메뉴 출시
- LF푸드의 일식 전문 브랜드 하코야가 여름을 맞아 한국도자기 리빙 리한과 손을 잡고 새로운 콜라보레이션 프로젝트를 시작한다고 5월 24일 밝혔다.하코야는 ...
- 2024-07-02
-
- 지역 브랜드의 힘, <로컬 크리에이티브 2024: The Next Community> 전시 개최
-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이 어반플레이와 협력하여 를 5월 17일부터 6월 2일까지 문화역서울284에서 개최했다. 이번 전시는 문화역서울 284 협력 전시의 일환으로, 공모를 통해 선정된 도시문화 콘텐...
- 2024-07-02
-
- <제24회 대한민국 청자공모전>
- 강진군이 주최하고, 고려청자박물관이 주관하는 24번째 이 오는 8월 2일부터 30일까지 약 한 달간 작품을 접수 받는다. 출품 분야는 청자 태토와 유약으로 제작...
- 2024-07-02
-
- <제4회 철화분청사기 산업이 되다> 공모전 개최
- 계룡산철화분청사기의 문화확산과 도자 산업의 활성화를 취지로 열리는 공모전이 10월 4일부터 10까지 7일간 온라인 접수를 받는다. 올해 4회차를 맞은 이번 ...
- 2024-07-02
-
- <제6회 아름다운 우리 도자기> 공모전 개최
- 가 6월 21일부터 30일까지 공모작 접수를 받는다. 이번 공모전은 우리 도자의 바른 의미를 찾고, 우수한 한국도자전통을 미래창조의 원동력으로 견인하기 위해 ...
- 2024-07-02
-
- <2024 경기도자비엔날레> D-100 카운트다운 돌입
- 지난 5월 21일, 이천 경기도자미술관에서 이 성대하게 열리며 2024 경기도자비엔날레의 성공적인 개최를 위한 의지를 다졌다.한국도자재단은 이날 행사에서 공식적으로 경기도자비엔날레의 D-100 카운트다...
- 2024-07-02
-
- 더 나은 삶을 위한 공간 브랜딩과 웰니스 트렌드를 논하다, <2024 디자인살롱 서울>
- ‘더 나은 공간, 더 나은 삶’을 위한 프리미엄 리빙 전시 과 함께 브랜딩 및 공간 관련 최신 트렌드 인사이트를 제공하는 이 오는 6월 13일과 14일 양일간...
- 2024-07-02
-
- 대전학생교육문화원, ‘꼼지락 도자재생연구소’ 프로그램 운영
- 대전학생교육문화원(원장 오광열)이 학생들의 문화예술 향유 기회를 늘리기 위해 ‘아트랑 도예랑’과 협력하여 2024년 생애주기별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꼼지락 도자재생연구소」 운영을 발표...
- 2024-06-04
-
- “경주 도자기 축제, 청화백자와 전통의 아름다움을 만나다”
- '제22회 경주 도자기 축제'는 황성공원 실내체육관 앞 광장에서 지난 4월 19일부터 28일까지 열렸다. 이번 행사는 경주도예가협회가 주최했으며, 주제를 '바램'으로 설정하여 풍성한 볼거리와 체...
- 2024-06-04
-
- “한국도자기 X 브레드이발소 새로운 어린이 식기세트와 MZ세대를 위한 머그컵 선보여”
- 충북의 향토기업 한국도자기는 ㈜브레드이발소(대표 정지환)와의 협업으로 새로운 제품을 선보였다. 브레드이발소는 유튜브 구독자 230만 명과 TV, OTT 서비스에서 1위를 차지하며 아동 및 MZ세대에게 큰 인...
- 2024-06-04
-
- “경기도 광주, 도자의 세계적 만남의 장으로 떠올라”
- 올해 처음으로 열리는 이 오는 5월 3일에 개막한다. 제27회 광주 왕실도자컨퍼런스의 일환으로 진행되며, 국내외 도예인과 시민 등 약 100여 명이 참석한다. 헝...
- 2024-06-04
-
- “1,505점의 작품이 경쟁하는 2024 경기도자비엔날레, 수상작은 어떤 작품일까?”
- 한국도자재단이 2024 경기도자비엔날레 국제공모전 출품작을 대상으로 1차 온라인 심사를 진행한 결과 21개국 총 61점의 작품이 선정됐다. 올해 공모전에는 전 세계 73개국에서 작가 1,097명이 참여해 총 1,505...
- 2024-06-04
-
- “밀라노 디자인위크, '사유의 두께' 주제로 한국공예전 열려”
- 한국의 전통 공예를 세계에 알리는 '밀라노 한국공예전'이 밀라노 디자인위크 동안 열렸다. 이번 전시는 한국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이 함께 주최해, ‘사유의 두께Tho...
- 2024-06-04
-
- 다채로운 예술과 소통의 장, 36회 여주도자기축제 개막
- 올해로 36회를 맞이하는 여주도자기축제가 올해는 관람객들의 다양한 취향과 세대에 맞춘 프로그램으로 펼쳐진다. 5월 3일부터 12일까지 10일간 여주 신륵사 관광지 일대에서 열리는 이번 축제는 작년 이후...
- 2024-06-04
-
- “여주시, 도예명장의 기술전수 프로그램 개최! 청년 도예인들의 기회 창출”
- 여주시에서는 도예명장 기술전수 프로그램을 7월 3일부터 8월 1일까지 개최한다. 이 프로그램은 예비 청년 도예인들이 여주시 도예산업 현장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여주시 도예명장의 경험과 기술을 전수...
- 2024-06-04
-
- “2025 청주공예비엔날레 예술감독에 강재영 선임, 미래를 선도하는 비엔날레 모델 구축 예고해”
- 2025에 열리는 제14회 청주공예비엔날레 예술감독에 전회 비엔날레를 이끈 강재영이 예술감독에 재위촉됐다. 강 감독은 지난 2023 청주공예비엔날레 예술감독을 맡아 누적 관람객 30만 8천여 명, 만족도 89.1%...
- 2024-06-04
- 도예마당더보기
-
-
- 제12회 하모니국제도예프랜드십 페스티벌 ‘하모니&양구’
- 다름을 즐기고 다채로움을 완성하다2013년, 한국, 캐나다, 중국 국적의 6명의 도예가는 괴산 조령민속공예촌에 모여 함께 작품을 만들고 각국의 전통 음식을 만들어 나눠 먹었다. 이 작은 모임이 올해로 12회를 맞는 하모니국제도예프랜드십 페스티벌의 시작이다. 따스한 햇살과 시원한 바람이 기분 좋은 초여름, 괴산과 양구의 푸르 른 자연 .
-
- 동아시아 도자문화 교류의 새로운 장봉황산경 鳳凰山景
- 백제기와 교류 워크숍을 통한 문화유산의 현대적 계승백제百濟는 기원전 18년부터 660년까지 678년간 한반도 서남부를 중심으로 번영했던 고대 국가였다. 그러나 신라와 당나라 연합군에 의해 멸망하면서 백제의 찬란했던 문화와 기술은 상당 부분 역사 속으로 사라져 버렸다. 승자의 기록이 역사가 되는 현실 속에서 백제에 관한 문헌 기록..
-
- 천 년 한옥-천 년 도자기 동시대예술의 융복합 지향 복합문화예술공간 ‘일루와유 달보루’
- 일루와유 달보루 전경지난 1월 햇살 좋은 날 오후에 은평한옥마을에 있는 일루와유 달보루에서는 문화예술 기획자, 감독, 작가, 평론가 등 음악, 미술, 공연, 기술기반예술, 다원예술까지 다양한 분야를 아우르는 전문가들의 신년 모임이 있었다. 동시대 예술의 최전선에서 활동하고 있는 30여 명이 모여, 함께한 감독의 신작 영상 감상을 시..
-
- [김대환 교수의 문화재 기행 53] 백자 청화 산수누각무늬 사각병 白磁靑畵山水樓閣紋四角甁
- 사진1) 「백자 청화 산수누각무늬 사각병」 조선시대 | 높이 18cm, 입지름 4cm, 바닥굽 9.5×9.5cm조선 후기의 문예부흥기로 일컬어지는 18세기에 들어서면 조선백자는 몸통이 각이 진 각형자기角形磁器가 새롭게 등장하게 된다. 각형자기는 물레로 원형의 자기를 성형한 후에 이른바 ‘모깎기 기법’을 하여 표면이 각이 지게 만든 기법...
-
- [소소담화43] 한국 공예 전시기획의 아카이빙 활용과 클리셰 (cliché)
- 공예에서 재료, 기술, 형태를 기반으로 한 분류체계와 지칭의 역사는 매우 깊다. 흙, 유리, 나무, 섬유, 금속 등 각 재료를 기반으로 공예의 영역을 분류하는 것, 작업자들을 재료에 가家를 붙여 지칭하는것 역시 재료, 기술, 형태를 기반으로 공예를 이해, 접근해 온 오랜 관습이다. 문제는 공예가 실용적 사물 혹은 그것을 만드는 기술에서 벗...
-
- [에세이 ESSAY 7] 그릇이 된 생각들_물독모심
- 아끼는 책이 있다. 한글학회에서 1966년 발간하여 1985년에 완간한 『한국지명총람』이다. 흙이란 것이 땅에서 왔으니 그 땅을 알고자 할 때 땅이름, 지명地名을 알면 그 이름만으로도 많이 알아진다. 또 옹기의 몸흙이 퇴적점토이니까 지명을 통해 지나온 과정, 땅의 이력을 먼저 본다. 그런데 전혀 다르게 예언지명이란 것이 또 있다. 용담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