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흙의 소리, 삶의 공명> 전시 연계체험 다양
- <흙의 소리, 삶의 공명> 전시 연계체험 다양
5.20. / 5.23. 미니허벅만들기, 5.13. 제주 물허벅 공연
<흙의 소리, 삶의 공명>은 문화체육관광부와 국립박물관문화재단의 지원을 받아 ‘2023 박물관·...
- 2023-07-18
-
- 2023 밀라노 한국공예전 <공예의 변주> 개최
- 2023 밀라노 한국공예전 <공예의 변주> 개최한국 대표 공예작가 20명, 총 65점 선보여
2023 밀라노 한국공예전 <공예의 변주Shift Craft>가 밀라노 디자인위크 기간인 4월 17일부터 23일까지 문화예술공간...
- 2023-07-18
-
- <조선의 백자, 군자지향> 전시 연계 프로그램으로 강연 열려
- <조선의 백자, 군자지향> 전시 연계 프로그램으로 강연 열려
<조선의 백자, 군자지향>의 전시 연계 프로그램이 리움미술관에서 3월 2일부터 5월 11일까지 매주 목요일에 열리고 있다. 이번 프로그 ...
- 2023-07-18
-
- 제24회 일백인 사발전 & 제22회 사발공모전
- 제24회 일백인 사발전 & 제22회 사발공모전접수 5.29.~6.7.
지난 21회 사발공모전 대상 최경수의 백자사발
한국사발학회가 주최하고 단국대학교 한국전통 도예연구소가 주관하는 일백인 사발전과 사발...
- 2023-07-18
-
- 양구군 ‘양구백토마을 공방지’ 분양
- 양구군 ‘양구백토마을 공방지’ 분양
신청 5.1.~5.30.
양구군 예술인촌 조성을 위한 <양구백토마을>의 공방지를 분양한다. 분양 내역 은 강원도 양구군 방산면 현리 141-1번지 일원으로, 단독 공방지 ...
- 2023-07-18
-
- 동곡미술관, 광주비엔날레의 일환으로 이탈리아 파빌리온 프로젝트 선보여
- 동곡미술관, 광주비엔날레의 일환으로 이탈리아 파빌리온 프로젝트 선보여
동곡미술관은 광주비엔날레 파빌리온 프로젝트 일환으로 <잠든 물은 무엇을 꿈꾸는가>전을 4월 9일부터 7월 9일까지 개최...
- 2023-07-18
-
- 2023 문경국제도자심포지엄 개최
- 2023 문경국제도자심포지엄 개최
5.4. 문경그랜드리조트
문경찻사발축제의 일환으로 ‘문경시 도자산업을 위 한 국제심포지엄’이 5월 4일 문경 그랜드리조트 내 에서 열린다. 문경시 주최, 단국도예연구...
- 2023-07-18
-
- 국립광주박물관, 도자문화관 건립 착공식 개최
- 국립광주박물관, 도자문화관 건립 착공식 개최
국립광주박물관은 2025년 개관 예정인 국립광주박물관 도자문화관 건립 착공식을 14일에 개최하였다. 이날 착공식에는 이병훈 국회의원, 이형석 국회의원, ...
- 2023-07-18
-
- 작가 박미란, 옻칠 목공예대전 대상 수상
- 작가박미란, 옻칠목공예대전대상수상
전통 옻칠 계승과 목공예문화 활성화를 위해 개최하는 ‘제26회 남원시 전국 옻칠 목공예대전’에서 도태칠기 작가 박미란의 「십장생문 나전 장식장」이 영예의 ...
- 2023-07-04
-
- 제주돌가마페스티벌 5.19.~28.제주 구억마을 전통옹기 전수관
- 제주돌가마페스티벌
5.19.~28.제주 구억마을 전통옹기 전수관
제주돌가마페스티벌이 5월 19일부터 28일까지 제주 구억리에 위치한 제주전 통옹기전수관에서 열렸다. 제주도예가회와 제주전통옹기전수관,...
- 2023-07-03
-
- 2023 하모니국제도예프렌드쉽 페스티벌 개최
- 2023 하모니국제도예프렌드쉽 페스티벌 개최
5.31.~6.6.강원 속초 피노디아 테마파크
제10회 하모니국제도예프렌드쉽 페스티벌이 5월 31일부터 6월 6일까지 속초 엑스포타워 광장 피노디아 테마파크에서 ...
- 2023-07-03
-
- 문경시, 숭실대 문경캠퍼스 유치 추진 본격화
- 문경시, 숭실대 문경캠퍼스 유치 추진 본격화
문경시는 수도권과 지방의 균형 발전을 도모하고 인구감소로 인한 지방소멸의 위기 극복을 위해 숭실대 문경캠퍼스 유치를 추진 중이다. 문경대와의 통...
- 2023-07-03
-
- 제24회 일백인사발전& 제22회 사발공모전
- 제24회 일백인사발전 & 제22회 사발공모전
접수 5.29.~6.7.
한국사발학회가 주최하고 단국대학교 한국전통 도예연구소가 주관하는 일백인 사발전과 사발공 모전이 5월 29일부터 6월 7일까지 열흘간 작품...
- 2023-07-03
-
- 도자 소공인을 위한 공도악업장 여주도자나날센터 개관
- 도자 소공인을 위한 공동작업장 여주도자나날센터 개관
자생력 있는 도자산업 생태계 조성에 나서
여주 도예계에 새로운 활력
도자 제조업 소공인을 지원하는 공동기반시설인 여주도자나날센터가 ...
- 2023-07-03
-
- D-100일 2023 청주공예비엔날레 사전 입장권 예매 시작
- D-100일 2023 청주공예비엔날레 사전 입장권 예매 시작
청주공예비엔날레가 개막 D-100일인 5월 24일부터 비엔날레 입장권 사전예매를 시작했다. 입장권 사전예매 가격은 성인 1만원(현장판매 1만 2천원), ...
- 2023-07-03
-
- 청주국제공예공모전 접수마감
- 청주국제공예공모전 접수마감 54개국 862건 출품
청주시와 청주공예비엔날레조직위원회는 지난 5월 7일까지 진행한 2023 청주국제공예공모전(이하 공모전)의 접수마감 결과 참여국, 응모작 수 모두 지난 회...
- 2023-07-03
-
- 작가 박미란, 옻칠 목공예대전 대상 수상
- 작가 박미란,옻칠 목공예대전 대상 수상
대상) 박미란 작 「십장생문 나전 장식장」
전통 옻칠 계승과 목공예문화 활성화를 위해 개최하는 ‘제26회 남원시 전국 옻칠 목공예대전’에서 도태칠 기 작...
- 2023-05-31
-
- 제주돌가마페스티벌
- 제주돌가마페스티벌5.19.~28. 제주 구억마을 전통옹기 전수관
제주돌가마페스티벌이 5월 19일부터 28일까지 제주 구억리에 위치한 제주전통옹기전수관에서 열렸다. 제주도예가회와 제주전통옹기전수...
- 2023-05-31
- 도예마당더보기
-
-
- 제12회 하모니국제도예프랜드십 페스티벌 ‘하모니&양구’
- 다름을 즐기고 다채로움을 완성하다2013년, 한국, 캐나다, 중국 국적의 6명의 도예가는 괴산 조령민속공예촌에 모여 함께 작품을 만들고 각국의 전통 음식을 만들어 나눠 먹었다. 이 작은 모임이 올해로 12회를 맞는 하모니국제도예프랜드십 페스티벌의 시작이다. 따스한 햇살과 시원한 바람이 기분 좋은 초여름, 괴산과 양구의 푸르 른 자연 .
-
- 동아시아 도자문화 교류의 새로운 장봉황산경 鳳凰山景
- 백제기와 교류 워크숍을 통한 문화유산의 현대적 계승백제百濟는 기원전 18년부터 660년까지 678년간 한반도 서남부를 중심으로 번영했던 고대 국가였다. 그러나 신라와 당나라 연합군에 의해 멸망하면서 백제의 찬란했던 문화와 기술은 상당 부분 역사 속으로 사라져 버렸다. 승자의 기록이 역사가 되는 현실 속에서 백제에 관한 문헌 기록..
-
- 천 년 한옥-천 년 도자기 동시대예술의 융복합 지향 복합문화예술공간 ‘일루와유 달보루’
- 일루와유 달보루 전경지난 1월 햇살 좋은 날 오후에 은평한옥마을에 있는 일루와유 달보루에서는 문화예술 기획자, 감독, 작가, 평론가 등 음악, 미술, 공연, 기술기반예술, 다원예술까지 다양한 분야를 아우르는 전문가들의 신년 모임이 있었다. 동시대 예술의 최전선에서 활동하고 있는 30여 명이 모여, 함께한 감독의 신작 영상 감상을 시..
-
- [김대환 교수의 문화재 기행 53] 백자 청화 산수누각무늬 사각병 白磁靑畵山水樓閣紋四角甁
- 사진1) 「백자 청화 산수누각무늬 사각병」 조선시대 | 높이 18cm, 입지름 4cm, 바닥굽 9.5×9.5cm조선 후기의 문예부흥기로 일컬어지는 18세기에 들어서면 조선백자는 몸통이 각이 진 각형자기角形磁器가 새롭게 등장하게 된다. 각형자기는 물레로 원형의 자기를 성형한 후에 이른바 ‘모깎기 기법’을 하여 표면이 각이 지게 만든 기법...
-
- [소소담화43] 한국 공예 전시기획의 아카이빙 활용과 클리셰 (cliché)
- 공예에서 재료, 기술, 형태를 기반으로 한 분류체계와 지칭의 역사는 매우 깊다. 흙, 유리, 나무, 섬유, 금속 등 각 재료를 기반으로 공예의 영역을 분류하는 것, 작업자들을 재료에 가家를 붙여 지칭하는것 역시 재료, 기술, 형태를 기반으로 공예를 이해, 접근해 온 오랜 관습이다. 문제는 공예가 실용적 사물 혹은 그것을 만드는 기술에서 벗...
-
- [에세이 ESSAY 7] 그릇이 된 생각들_물독모심
- 아끼는 책이 있다. 한글학회에서 1966년 발간하여 1985년에 완간한 『한국지명총람』이다. 흙이란 것이 땅에서 왔으니 그 땅을 알고자 할 때 땅이름, 지명地名을 알면 그 이름만으로도 많이 알아진다. 또 옹기의 몸흙이 퇴적점토이니까 지명을 통해 지나온 과정, 땅의 이력을 먼저 본다. 그런데 전혀 다르게 예언지명이란 것이 또 있다. 용담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