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특집] 전문가 3인에게 듣는 2020올해의 결산
- SPECIAL FEATURE전문가 3인에게 듣는2020올해의 결산다사다난했던 2020년의 마지막 달이다. 올 한해는 코로나19로 도예계에 유난히 많은 이슈와 변화가 있었다. 이번 호에서는 2020년 한 해 동안 도예계에 일어난 ...
- 2020-12-29
-
- 특집4) 3D프린터, 어디서 배울 수 있는가
-
SPECIAL FEATURE VI 3D프린터, 어디서 배울 수 있는가글. 김성윤 3DCLAY 대표
3D프린터 보급율이 높아졌다고는 하지만 여전히 어디서부터 시작해야할지 막막하다. 장비 사용을 위해서는 장비교육이 ...
- 2020-12-01
-
- 특집3) 3D프린팅을 이용한 작품들
-
SPECIAL FEATURE III3D 프린팅을 이용한 작품들글. 김성윤 3DCLAY 대표
3D프린팅을 이용해 구조물을 프린팅하는 기술
3D프린터를 이용하여 구조물을 프린팅하는 일은 건축분야가 단연 앞서가고 있다. 대학에...
- 2020-12-01
-
- 특집2)세라믹 3D프린터의 종류와 제작과정
-
SPECIAL FEATURE II 3D프린터, 우리 삶 속에 어디까지 왔는가
세라믹 3D프린터의 종류와 제작과정글. 김성윤 3DCLAY 대표
3D 프린팅, 생활에 들어오다2015년은 ‘3D 프린터의 해’라고 칭해도 될 만큼 ...
- 2020-12-01
-
- 특집1)세라믹3D프린터를 이용한 기술 구현과 현황
-
SPECIAL FEATURE
디지털 수공예, 세라믹3D프린터
이번 특집은 날마다 삶에 가까워지며 혁신적인 변화를 예견하고 있는 세라믹3D프린터를 다뤄보았습니다. 3D프린터에 대한 관심은 높아지고 있지만 시도는 ...
- 2020-12-01
-
- 특집3) 코로나19를 통해 본 예술시장의 변화
-
SPECIAL FEATURE III ‘코로나19’를 통해 본 예술시장의 변화글·사진. 노일환 솔루나 대표
세계보건기구WHO는 2020년 3월 11일, ‘코로나19’를 ‘팬데믹pandemic’ 으로 공식 선언하였다. 3월 20일 WHO ...
- 2020-11-09
-
- 특집2) 온오프라인 경계에서의 전시를 말하다
-
SPECIAL FEATURE II온·오프라인 경계에서의 전시를 말하다글·사진. 강재영 독립큐레이터
변곡점과 특이점 Tipping Point and Singularity인류는 코로나19 펜데믹의 공포로 엄청난 변곡점Tipping Point의 시대에 봉착...
- 2020-11-09
-
- 특집1) 비대면 시대의 온라인 도예교육 현장
-
SPECIAL FEATURE
언택트 시대와 도자 문화
코로나19가 불러온 환경의 변화를 디딤돌 삼아 언택트 시대에서 도예가 나아갈 방향을 살펴보았다. 비대면화와 디지털 가속화가 된 현재, 비대면 도예의 의미를 ...
- 2020-11-09
-
- 특집3) 차도구 수리에 관한 단상
-
SPECIAL FEATURE III 차도구 수리에 관한 단상글·사진. 박순관 도예가
수리와 복원에 대하여도자 기물은 깨지는 일이 적지 않다. 좋은 작품은 가격이 만만치 않고 특히 차에 관한 용기는 다른 실용기에 비...
- 2020-10-06
-
- 특집2) 도자 수리기술과 사례
-
SPECIAL FEATURE II도자 수리기술과 사례글·사진. 박미란 도자옻칠공예가
도자 수리의 재료, 옻칠
옻을 이용한 수리 도자기는 음식을 담는 그릇, 저장 용기, 차례를 올리는 차 도구茶具, 감상하는 도자기 ...
- 2020-10-06
-
- 특집1)도자기 수복기법의 변천
-
SPECIAL FEATURE
도자 수리를 말하다
오랫동안 깨진 그릇은 고쳐 쓰지 않는 데에 방점을 찍어왔기 때문에 수리복원은 동떨어진 일이었다. 최근에는 수리문화에 대한 지지와 관심이 늘어나 기물 자체가 아...
- 2020-10-06
-
- [특집III]김진규 × 은소영
- Special Feature III 김진규 × 은소영글_김기혜 기자 사진_ 편집부분청과 백자 사이김진규 작가는 20여 년 동안 분청사기 인화기법을 바탕으로 작업해왔다. 그는 꽃·물고기·나비·나무 등을 분청도자 위에 표...
- 2020-09-29
-
- [특집II] 홍성일 × 이혜진
- Special Feature II 홍성일 × 이혜진글_이연주 기자 사진_ 편집부불과 7~8년 사이 노산도방은 많은 변화를 겪었다. 현재 이곳에 터를 잡은 것은 2009 년. 2층짜리 단독주택은 두 자녀를 둔 4인 가족의 집이자 작업...
- 2020-09-29
-
- [특집I] 곽경화 × 최홍선
- Special Feature따로 또 같이,부부 도예가부부로 함께 산다는 것은 서로 교집합을 만들어나가는 것이다. 다른 삶의 방식으로 살아오던 두 사람이 만나 조금씩 닮아가고, 같은 기억을 공유하며 쌓아가는 것이...
- 2020-09-29
-
- 특집6) ‘공예’가 실종된 스펙터클의 장 場
- Column‘공예’가 실종된 스펙터클의 장 場글_홍지수 미술학박사,공예평론가지난 10 월 8 일, 청주공예비엔날레가 11 번째 문을 열었다. 매회 비슷한 시기에 열렸던 경기도세계도자비엔날레가 돼지열병 확...
- 2020-09-07
-
- 특집5) 청주공예비엔날레 미술관 프로젝트
-
Special Feature V
미술관 프로젝트글·정리_김은선 기자 사진_ 편집부, 각 박물관 및 미술관 제공
‘미술관 프로젝트’는 비엔날레에 참여하는 청주지역 박물관 및 미술관 7곳의 관내전시를 관람할 수 있는...
- 2020-09-07
-
- 특집4)청주공예비엔날레 초대국가관 공모전
-
Special Feature IV
2019청주공예비엔날레 현장 보고초대국가관글·사진_김성희 객원기자
덴마크, 헝가리, 중국, 아세안 필리핀, 태국, 캄보디아, 미얀마,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브루 나이, 베트...
- 2020-09-07
-
- 특집3) 청주공예비엔날레 기획전
-
Special Feature III
2019청주공예비엔날레 현장 보고
기획전 3~5, 기획특별전 1~3글·정리_ 편집부
기획전3 놀이의 시작율량동 고가는 2014년에 충청도 병마절도사영의 관아를 복원한 공간이다. 청주 율량지...
- 2020-09-07
- 전시더보기
-
-
- 아뜰리에 유지《BON VOYAGE》_2025.2.21.~4.6.
- 2. 21. ~4. 6. 알부스 갤러리BON VOYAGE이번 전시는 아뜰리에 유지의 첫 단독 전시로, 이천도자예술마을에서만 만나볼 수 있었던 작품을 선보였다.ⓒAlbus gallery아뜰리에 유지는 도자기를 만드는 조유연, 그림을 그리는 김지은에서 지어진 이름으로 부부가 함께 작업하고 있다. 두 작가는 프랑스에서 조형예술을 공부하며 김지은은 그림을, 조...
-
- 《호림명보 湖林名寶》_2025.2.11.~7.26.
- 2. 11. ~7. 26. 호림박물관 신사분관역사의 아름다움, 그 가치를 이어가다2025년 3월 기준, 우리나라는 363건의 국보와 2419건의 보물이 지정되어 있다. 까다로운 심사를 거쳐 지정된 역사적, 학술적, 예술적 가치가 큰 대상들은 과거와 현재를 잇는 소중한 문화유산이다. 지난 2월부터 호림박물관에서는 국보와 보물, 서울시유형문화유산 등 100...
-
- 이능호, 박성욱《굽과 합》)2025.2.7.~3.14.
- 2. 7. ~3. 14. 수애뇨339 굽과 합굽은 그릇의 밑바닥에 붙은 나지막한 받침을 가리킨다. 본디 다른 존재를 받쳐 주거나 돋보이도록 만들어졌기에 다른 존재와 더불어 있어야 그 가치를 발한다. 하나의 작은 조각을 가리키는 편片도 홀로 존재한다면 사소하고 대수롭지 않은 일부일 뿐이다. 작은 편들이 모이고 서로 어우러져 하나를 이룰 때 ...
-
- 최성재 《Landscape of the Heart 마음 풍경》_2025.3.6.~3.22.
- 3. 6. ~3. 22 갤러리 소안수풀, 푸른… 찰나40년이 넘는 세월동안 도예 수행을 해온 최성재의 44번째 개인전은 자유롭지만 섬세한 붓놀림이 느껴지는 귀얄기법과 새로운 채색 분장을 한 배경의 표현이 인상적이다.자유분방하고 활달한 기법이지만 확실한 조형계획과 의도를 가진 작가의 필치, 손가락의 흐름이, 담백하고 여운있는 이미지를 ...
-
- 김재용《Run Donut Run》_2025.2.26.~4.5.
- 2. 26. ~4. 5. 학고재 도넛, 욕망을 비추는 거울전시 공간에 펼쳐진 형형색색의 도넛 조각의 풍경은 현대 소비사회의 축소판이자 귀환을 기다리는 자화상이다. 김재용의 도넛은 순수한 감각적 유희의 대상이자 욕망을 반영하는 기호일 뿐 아니라 응원이라는 메시지이다. 김재용은 디지털 기술과 수공예적 접근 방식을 혼합해 독자적 방향...
- 도예마당더보기
-
-
- [김대환 교수의 문화재 기행 50] 고구려 불꽃모양 장식 금관 高句麗火焰形裝飾金冠
- 사진1) 「고구려 불꽃모양 장식 금관 高句麗火焰形裝飾金冠」 고구려 높이 15.8cm, 지름 19.5cm한민족은 고조선의 강력한 제국을 형성한 시기에 태양을 숭배하고 제천의식을 통해서 천제를 지내며 오천 년 역사를 이어 온 동북아시아의 핵심 민족이다. 한민족이 태양을 숭배한 증거는 「거친무늬 청동거울」, 「비파 모양 동검」 등 여러 종류..
-
- [한 장의 사진, 영원의 작품 19]
- 본 지면은 경기도자미술관의 소장품을 소개하는 꼭지입니다. 사진 한 점을 통해 기법이나 표현방식, 주목받은 이유 등 다각적으로 살펴보며 과거의 물상과 이야기를 탐험하고자 합니다.글·사진. 경기도자미술관 제공고희숙 KO Heesook「White line 2019」 Ø29×h13cm | 한국 | 2019고희숙은 슬립캐스팅Slip casting기법으로 백자를 제작한다. ...
-
- 김예빈 갤러리 모순 대표 인터뷰
- 모순의 미학, 조화를 큐레이팅하다서울 정동길, 근대문화유산으로 지정된 2층 건물에 자리 잡은 ‘갤러리 모순’은 이름 그대로 이질적인 요소들이 조화를 이루는 공간이다. 전통과 현대, 동양과 서양, 공예와 미술, 기능성과 조형성 사이의 긴장과 융합이 이곳의 정체성이다. 이 공간의 디렉터 김예빈은 갤러리 운영의 전통적인 문법.
-
- [소소담화40] 무너지고, 부서지고, 터지고, 갈라진 흙
- 요즘 유행어로 ‘힙Hip 하다’라고 하면, ‘새로운 것을 지향하고 개성이 강한 것’을 의미한다. 이 ‘힙’을 가장 반기고 열망하는 이를 꼽는다면, 예술가들이 아닐까? 어느 시대나 가장 트렌디하고 독창적이며 개성이 넘치는 스타일이나 태도를 추구하는 자들의 선두에는 늘 예술가들이 있었다. 그렇다면 현대 도예의 &lsq...
-
- [에세이 ESSAY 4] 그릇이 된 생각들_1인人 밥솥「사름」
- ‘사름’은 도작稻作문화에서 이양으로 모를 옮겨 땅 냄새를 맡다가 심은 지 4~5일쯤 지나 완전히 뿌리를 내려 파랗게 생기를 띠는 일, 또는 그런 상태를 말한다. 제주도 방언으로는 사람을 ‘사름’이라 한다. 농사꾼 못된 옹기장이로 이 사람에게는 옹기몸흙의 생감을 사름에서 느끼게 되며, 또 가을 추수가 끝나고서도 그 밑동...
-
- [2024 주요 대학 졸업 전시4]
- 졸업 전시는 미래의 도예가들이 펼쳐 나갈 작품 세계의 예고편이다. 독창적인 조형성이 돋보이는 작품부터 완성도가 뛰어난 작품, 쓰임을 디자인으로 승화한 작품 등을 선별했다. 도예계에 새 숨결을 불어넣을 졸업생들의 생동한 작품에 주목해 보자. 건국대학교 리빙디자인학과 이호석 「Pattern Cup series, Weave Lamp」 7×7×18cm, 8&tim...
-
- 2025 강진청자물레경진대회 개최
- 강진군은 제53회 강진청자축제를 통해 강진의 고려청자 전통을 기리고, 세계적인 도자기 중심지로서의 역사적 자부심과 문화적 가치를 널리 알리며 이를 계승·발전시키고자 강진군이 주최하고, 강진군 축제추진위원회가 주관한 를 지난 3월 1일 강진청자축제장에서 개최했다. 강진청자물레경진대회는 강진청자축제의 대표 행사로 강..